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교통사고 판결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구상금·손해배상(자)

[대법원 2002. 7. 23., 선고, 2002다24461, 판결]

【판시사항】

[1] 책임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2 이상의 자동차가 공동으로 하나의 사고에 관여한 경우, 보험자의 책임범위
[2] 갑과 을이 공동으로 하나의 교통사고에 관여하고 을에 대한 자동차종합보험 및 책임보험의 보험자인 동시에 갑에 대한 책임보험의 보험자인 병이 을의 보험자로서 피해자들에게 손해배상금을 지급한 경우, 병의 갑에 대한 구상금에서 공제되어야 할 책임보험금의 범위

【판결요지】

[1] 책임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2 이상의 자동차가 공동으로 사고를 일으킨 경우 각 보험자는 피해자의 손해액을 한도로 하여 각자의 책임보험 한도액 전액을 피해자에게 지급할 책임을 진다.


[2] 갑과 을이 공동으로 하나의 교통사고에 관여하고 을에 대한 자동차종합보험 및 책임보험의 보험자인 동시에 갑에 대한 책임보험의 보험자인 병이 을의 보험자로서 피해자들에게 손해배상금을 지급한 경우, 병은 갑의 책임보험자의 지위에서 책임보험금 한도액 전액을 피해자들에게 지급할 책임이 있고, 따라서 병의 갑에 대한 구상금에서 공제되어야 할 금액은 병이 지급한 책임보험금 중 갑의 과실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이 아니라 병이 지급하여야 할 책임보험금 전액이다.

【참조조문】


[1]

구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1999. 2. 5. 법률 제5793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

구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시행령(1999. 6. 30. 대통령령 제16463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 제1항

[2]

민법 제425조 제1항
,

제760조 제1항
,

상법 제682조
,

구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1999. 2. 5. 법률 제5793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5조
,

구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시행령(1999. 6. 30. 대통령령 제16463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3조 제1항

【참조판례】


[1][2]

대법원 2002. 4. 18. 선고 99다38132 전원합의체 판결(공2002상, 1206) /[1]

대법원 1997. 10. 24. 선고 97다20229 판결

 

【전문】

【원고(반소피고),피상고인】

제일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한성호)

【피고(반소원고),상고인】

이영섭 (소송대리인 변호사 백상렬)

【원심판결】

창원지법 2002. 3. 28. 선고 2000나8926, 8933 판결

【주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창원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이유】

원심은, 피고(반소원고, 아래에서는 '피고'라고만 한다)와 천기용이 이 사건 교통사고를 일으켜 박옥만 등 5인이 다쳤고, 천기용에 대한 자동차종합보험 및 책임보험의 보험자인 동시에 피고에 대한 책임보험의 보험자인 원고(반소피고, 아래에서는 '원고'라고만 한다)가 천기용의 보험자로서 박옥만 등 5인의 피해자에게 손해배상금으로 118,290,620원을 지급하였는데, 위 피해자들에게 지급되어야 할 책임보험금은 각각 24,200,000원이며, 이 사건 교통사고에 있어 피고의 과실비율이 10%이므로, 원고는 피고에 대하여 자신의 출연으로 원고와 피고가 공동으로 면책된 118,290,620원에서 책임보험금 24,200,000원을 공제한 나머지 금액 중 피고의 과실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구상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책임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2 이상의 자동차가 공동으로 사고를 일으킨 경우 각 보험자는 피해자의 손해액을 한도로 하여 각자의 책임보험 한도액 전액을 피해자에게 지급할 책임을 지므로( 대법원 2002. 4. 18. 선고 99다38132 전원합의체 판결 참조), 이 사건에서 원고는 피고의 책임보험자의 지위에서 책임보험금 한도액 전액을 피해자들에게 지급할 책임이 있고, 따라서 원고의 피고에 대한 구상금에서 공제되어야 할 금액은 원고가 지급한 책임보험금 중 피고의 과실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이 아니라 원고가 지급하여야 할 책임보험금 전액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심이 원고가 피해자들에게 지급한 책임보험금 중 피고의 과실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에 한하여 원고의 피고에 대한 구상금에서 공제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은, 책임보험과 구상금의 범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을 저지른 것이고, 이를 지적하는 상고이유는 이유가 있다.


그러므로 주문과 같이 원심판결을 파기하여, 사건을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우(재판장) 서성(주심) 배기원
TAG •

  1. 노동부 발행의 의사의 급여액을 기초로 한 것이 정당하다고 한 사례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3588
    Read More
  2. 후행 차량 운전자에게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않은 과실이 있는지 여부

    Date2011.04.03 By관리자 Views5439
    Read More
  3. 소규모 주식회사의 대표이사 정년

    Date2011.04.03 By관리자 Views4568
    Read More
  4. 교통사고 장애인 위자료 차별은 부당

    Date2011.04.03 By관리자 Views3733
    Read More
  5. 일실수익산정의 기초가 되는 기대수입의 입증자료로서의 통계자료와 증언

    Date2011.04.03 By상담실장 Views5213
    Read More
  6. 유턴표시가 없는 교차로에서 차마의 좌회전 또는 유턴이 허용되는지 여부

    Date2011.04.03 By상담실장 Views3621
    Read More
  7. 불법주차된 덤프트럭 뒤에서 갑자기 뛰어나온 피해자를 충격하여 상해를 입힌 사안

    Date2011.04.03 By상담실장 Views4040
    Read More
  8. 전소의 감정결과보다 여명이 더 연장된 경우

    Date2011.04.03 By상담실장 Views3456
    Read More
  9. 안전띠 미착용은 사고장소가 고속도로, 시내, 시외 여부를 불문하고 과실상계

    Date2011.04.03 By상담실장 Views6336
    Read More
  10. 기대여명보다 일찍 사망한 경우, 기지급된 손해배상금은 부당이득으로 볼 수 없다

    Date2011.04.02 By상담실장 Views3697
    Read More
  11. 호의나 무상으로 동승하였다는 사실만으로 감경사유로 삼을 수 없다

    Date2011.03.17 By상담실장 Views5479
    Read More
  12. 후발손해 발생 시 선합의의 효력이 미치는 범위

    Date2010.08.04 By상담실장 Views5439
    Read More
  13. 사고 당시 피해자의 실제수입이 통계소득보다 낮은 경우 , 일실수입 산정의 기준

    Date2010.07.30 By상담실장 Views5820
    Read More
  14. 식물인간 피해자에 여명기간 동안 1.5인의 개호 인정한 사례

    Date2010.07.30 By상담실장 Views6147
    Read More
  15. 군인의 퇴역연금과 상이연금은 일실이익에 포함된다

    Date2010.06.23 By상담실장 Views6757
    Read More
  16. 국가유공자 유족연금은 일실수입 산정의 기초자료로 삼을 수 있다

    Date2010.06.23 By상담실장 Views7696
    Read More
  17. 국가유공자 사망시 연금은 일실이익에 포함되어야 한다

    Date2010.06.18 By상담실장 Views7864
    Read More
  18. 주.정차한 자동차에서 하차 중 사고도 자동차 보험금 지급 대상

    Date2009.04.17 By상담실장 Views6542
    Read More
  19. 책임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2 이상의 자동차가 공동으로 하나의 사고에 관여한 경우, 보험자의 책임범위

    Date2009.04.17 By상담실장 Views3819
    Read More
  20. 사고후 사실심의 변론종결시까지 사이에 소득이 인상된 경우 일실이익손해의 산정기준액

    Date2009.04.17 By상담실장 Views4326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Next
/ 26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