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교통사고 판결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사고후닷컴
조회 수 633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해배상(자)

[대법원 2009. 7. 9., 선고, 2008다91180, 판결]

【판시사항】

[1] 자동차교통사고 피해자의 안전띠 미착용의 점이 과실상계의 사유가 되는지 여부(적극)
[2]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사건에서 피해자의 일실수입 손해액의 산정 방법
[3] 신체장애로 인한 노동능력상실률의 결정방법

【판결요지】

[1] 고속도로나 자동차전용도로 이외의 도로를 운행하는 승합자동차의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에 대하여는 안전띠의 착용이 법규상 강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릇 안전띠의 착용은 불의의 사고발생시 자신의 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것이며 위 고속도로 등의 외에서 운행하는 차량이라 하여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안전띠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이를 착용하지 않고 있다가 사고가 발생하게 되었고 안전띠를 착용하였더라면 그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었던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안전띠 미착용의 점은 그 사고장소가 시내인지 또는 시외인지 등을 가릴 것 없이 과실상계의 사유가 된다.


[2]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사건에서 피해자의 일실수입은 사고 당시 피해자의 실제소득을 기준으로 하여 산정할 수도 있고 통계소득을 포함한 추정소득에 의하여 평가할 수도 있는 것인바, 피해자가 일정한 수입을 얻고 있었던 경우 신빙성 있는 실제 수입에 대한 증거가 현출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피해자가 종사하였던 직종과 유사한 직종에 종사하는 자들에 대한 통계소득에 의하여 피해자의 일실수입을 산정하여야 한다.


[3] 불법행위의 피해자가 입은 소극적 손해를 산정함에 있어 노동능력상실률을 적용하는 방법에 의할 경우에는 그 노동능력상실률은 단순한 신체적 장애율이 아니라 피해자의 연령, 교육 정도, 종전 직업의 성질과 직업 경력 및 기술숙련 정도, 신체장애의 부위 및 정도, 유사 직종이나 타 직종에의 전업가능성과 그 확률 기타 사회적, 경제적 조건을 모두 참작하여 경험법칙에 따라 도출하는 합리적이고 객관성 있는 노동능력상실률을 도출해야 한다.

【참조조문】

[1]민법 제396조제763조
[2]민법 제750조
[3]민법 제750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87. 7. 7. 선고 87다카69 판결(공1987, 1310),
대법원 1988. 4. 25. 선고 87다카2892 판결(공1988, 896) / [2]
대법원 1992. 11. 13. 선고 92다14526 판결(공1993상, 101),
대법원 2006. 3. 9. 선고 2005다16904 판결(공2006상, 581) / [3]
대법원 1991. 6. 11. 선고 91다7385 판결(공1991, 1907),
대법원 1991. 8. 13. 선고 91다7798 판결(공1991, 2338)

【전문】

【원고, 상고인 겸 피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겸 상고인】

【원심판결】

수원지법 2008. 10. 28. 선고 2008나8918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재산상 손해에 관한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수원지방법원 본원 합의부에 환송한다. 원고의 상고를 기각한다.

【이 유】

1. 원고의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
 
가.  상고이유 제1점에 대하여


고속도로나 자동차전용도로 이외의 도로를 운행하는 승합자동차의 뒷좌석에 탑승한 승객에 대하여는 안전띠의 착용이 법규상 강제되는 것은 아니지만, 무릇 안전띠의 착용은 불의의 사고발생시 자신의 안전을 위하여 필요한 것이며 위 고속도로 등의 외에서 운행하는 차량이라 하여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으므로, 안전띠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이를 착용하지 않고 있다가 사고가 발생하게 되었고 안전띠를 착용하였더라면 그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었던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안전띠 미착용의 점은 그 사고장소가 시내인지 또는 시외인지 등을 가릴 것 없이 과실상계의 사유가 된다( 대법원 1987. 7. 7. 선고 87다카69 판결대법원 1988. 4. 25. 선고 87다카2892 판결 등 참조).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원고의 안전띠 미착용으로 인하여 이 사건 사고로 인한 손해의 확대에 기여하였다고 인정하여 피고의 손해배상액에 대하여 10%의 과실상계를 한 조치는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과실상계에 관한 법리오해 등의 위법이 없다.
 
나.  상고이유 제2점에 대하여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사건에서 피해자의 일실수입은 사고 당시 피해자의 실제소득을 기준으로 하여 산정할 수도 있고 통계소득을 포함한 추정소득에 의하여 평가할 수도 있는 것인바, 피해자가 일정한 수입을 얻고 있었던 경우 신빙성 있는 실제수입에 대한 증거가 현출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피해자가 종사하였던 직종과 유사한 직종에 종사하는 자들에 대한 통계소득에 의하여 피해자의 일실수입을 산정하여야 한다( 대법원 1992. 11. 13. 선고 92다14526 판결대법원 2006. 3. 9. 선고 2005다16904 판결 등 참조).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이 원고의 실제수입을 인정할 만한 증거가 부족하다고 보아 원고가 종사하던 직종과 유사한 직종에 종사하는 자들에 대한 통계소득을 기준으로 삼아 원고의 일실수입을 산정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일실수입 산정에 관한 법리오해나 채증법칙 위반 등의 위법이 없다.
 
다.  상고이유 제3, 4점에 대하여


불법행위의 피해자가 입은 소극적 손해를 산정함에 있어 노동능력상실률을 적용하는 방법에 의할 경우에는 그 노동능력상실률은 단순한 신체적 장애율이 아니라 피해자의 연령, 교육 정도, 종전 직업의 성질과 직업 경력 및 기술숙련 정도, 신체장애의 부위 및 정도, 유사 직종이나 타 직종에의 전업가능성과 그 확률 기타 사회적, 경제적 조건을 모두 참작하여 경험법칙에 따라 도출하는 합리적이고 객관성 있는 노동능력상실률을 도출해야 하는 것이다( 대법원 1991. 6. 11. 선고 91다7385 판결대법원 1991. 8. 13. 선고 91다7798 판결 등 참조).
원심은 그 채택 증거에 의하여 그 판시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다음, 원고의 입원기간 동안의 노동능력상실률을 100%로, 원고가 우측 회절근개부 파열상 등으로 인하여 3년 동안 입게 된 노동능력상실률을 15%로 각 인정하였으나, 거기에서 나아가 통원치료기간 동안의 노동능력상실률을 100%로 보거나 수술 후 생긴 우측 상완부 선상 반흔으로 인하여 별도의 노동능력상실이 발생하였다고는 볼 수 없다고 판단하였는바, 위 법리와 기록에 비추어 살펴보면 원심의 판단은 정당한 것으로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상고이유의 주장과 같은 노동능력상실률에 관한 법리오해나 채증법칙 위반 등의 위법이 없다.
 
2.  피고의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


교통사고의 피해자가 가해자가 가입한 자동차보험회사로부터 치료비를 지급받은 경우 그 치료비 중 피해자의 과실비율에 상당하는 부분은 가해자의 재산상 손해배상액에서 공제되어야 한다( 대법원 1999. 3. 23. 선고 98다64301 판결대법원 2002. 9. 4. 선고 2001다80778 판결 등 참조).
기록에 의하면, 피고가 원고의 치료비로 14,320,170원을 지급한 사실을 알 수 있고, 원심은 이 사건 사고에 관하여 원고에게도 과실이 있다고 보아 피고의 손해배상액을 산정함에 있어 10%의 과실상계를 하고 있으며, 피고는 원심에서(2008. 9. 5.자 준비서면) 위 치료비 중 원고의 과실비율에 상당하는 금액은 공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런데도 원심은 피고의 위 주장에 대하여 아무런 판단도 하지 아니한 채 위 치료비 중 원고의 과실비율에 상당하는 금액을 피고가 배상할 재산상의 손해액에서 공제하지 아니하고 말았으니, 이 부분 원심판결에는 판결에 영향을 미친 판단누락의 위법이 있다.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3.  결론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재산상 손해에 관한 피고 패소 부분을 파기하고, 이 부분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되, 원고의 상고를 기각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영란(재판장) 이홍훈 김능환(주심) 차한성
TAG •

  1. No Image 12Oct
    by 송무팀
    2011/10/12 by 송무팀
    Views 6485 

    사고로 인한 입원기간 동안에는 노동능력을 전부 상실하였다고 보아야 한다

  2. No Image 21Jul
    by 송무팀
    2011/07/21 by 송무팀
    Views 6449 

    우울증에 시달리다 자살한 경우 교통사고와 사망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다고 본 사례

  3. No Image 03Apr
    by 상담실장
    2011/04/03 by 상담실장
    Views 6334 

    안전띠 미착용은 사고장소가 고속도로, 시내, 시외 여부를 불문하고 과실상계

  4. No Image 06Sep
    by 송무팀
    2011/09/06 by 송무팀
    Views 6271 

    합의나 화해가 이루어진 경우, 그 목적으로 된 사항에 대한 해석원칙

  5. No Image 20Jun
    by 사무국장
    2014/06/20 by 사무국장
    Views 6244 

    '고의에 의한 손해’라고 할 수 없어 자동차보험의 면책약관이 적용되지 않는다고 한 사례

  6. No Image 23Sep
    by 사무국장
    2014/09/23 by 사무국장
    Views 6241 

    약관상 일용근로자 임금의 적용 범위

  7. No Image 30Jul
    by 상담실장
    2010/07/30 by 상담실장
    Views 6145 

    식물인간 피해자에 여명기간 동안 1.5인의 개호 인정한 사례

  8. No Image 11Mar
    by 송무팀
    2013/03/11 by 송무팀
    Views 6074 

    고용된 간호사의 문진, 신체계측 등의 결과서를 작성하여 보험회사에 통보하는 의료행위는 위법

  9. No Image 14Jan
    by 송무팀
    2009/01/14 by 송무팀
    Views 6010 

    두 가지 이상의 수입상실액을 모두 합산하여 일실수입을 산정하기 위한 요건

  10. No Image 05Apr
    by 송무팀
    2011/04/05 by 송무팀
    Views 5934 

    교통정리가 행하여지고 있지 않은 교차로에서의 통행 우선순위

  11. No Image 05Apr
    by 상담실장
    2011/04/05 by 상담실장
    Views 5915 

    과실상계에서 피해자의 과실로 참작되어야 할 피해자측의 범위

  12. No Image 15Jan
    by 송무팀
    2009/01/15 by 송무팀
    Views 5890 

    복합장해가 있는 경우, 노동능력상실률을 그 부위가 절단된 경우보다 중하게 인정할 수 있는지 여부

  13. No Image 30Jul
    by 상담실장
    2010/07/30 by 상담실장
    Views 5818 

    사고 당시 피해자의 실제수입이 통계소득보다 낮은 경우 , 일실수입 산정의 기준

  14. No Image 05Apr
    by 상담실장
    2011/04/05 by 상담실장
    Views 5739 

    교통사고와 사망 사이의 상당인과관계 유무

  15. No Image 05Apr
    by 상담실장
    2011/04/05 by 상담실장
    Views 5726 

    타일공의 정부노임단가를 기준으로 삼은 원심의 조치를 수긍한 사례

  16. No Image 05Apr
    by 상담실장
    2011/04/05 by 상담실장
    Views 5687 

    보험판매실적에 따른 수당만을 지급받는 생활설계사(보험모집인)의 일실수입을 총 수당액에 소득표준율을 곱하여 산정한 사례

  17. No Image 05Apr
    by 상담실장
    2011/04/05 by 상담실장
    Views 5566 

    교통사고가 사망의 직접원인이 된 지병을 악화시킨 원인이 된 경우 교통사고와 사망사이의 인과관계의 존부

  18. No Image 05Apr
    by 상담실장
    2011/04/05 by 상담실장
    Views 5564 

    중앙선을 넘어 온 버스를 충돌한 트럭운전사의 과실 유무

  19. No Image 05Apr
    by 상담실장
    2011/04/05 by 상담실장
    Views 5555 

    자동차가 타인의 불법행위로 인하여 폐차할 정도로 손괴된 경우 중고차 교환가격의 산정방법

  20. No Image 17Apr
    by 상담실장
    2009/04/17 by 상담실장
    Views 5505 

    연습중이던 피교습자가 사고를 야기한 사안에서 그의 운전연습 경력에 비추어 볼 때 '과실'이 있다고 본 사례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 Next
/ 26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