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교통사고 판결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사고후닷컴
조회 수 344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해배상(자)

[대법원 1996. 10. 11., 선고, 96다27384, 판결]

【판시사항】

교통사고를 일으킨 남동생의 과실을 그 차에 동승하였다가 사망한 출가한 누나에 대한 피해자측 과실로 인정한 사례

【판결요지】

남동생이 운전하는 차량에 동승하였다가 남동생의 과실과 제3자의 과실이 경합하여 발생한 교통사고로 사망한 출가한 누나의 유족이 제3자의 보험회사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 피해자의 남동생의 운전상의 과실을 피해자측 과실로 보아 손해배상액을 산정함에 있어 참작한 사례.

【참조조문】

민법 제396조,
제763조

【참조판례】

대법원 1973. 9. 25. 선고 72다2082 판결(집35-1, 민67),

대법원 1987. 2. 10. 선고 86다카1759 판결(공1987, 421),

대법원 1989. 12. 12. 선고 89다카43 판결(공1990, 252),

대법원 1991. 11. 12. 선고 91다30156 판결(공1992, 110),

대법원 1993. 5. 25. 선고 92다54753 판결(공1993하, 1851)

 

【전문】

【원고,상고인】

 

【피고,피상고인】

해동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원심판결】

서울고법 1996. 5. 23. 선고 96나9036 판결

【주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원고들의 부담으로 한다.
 

【이유】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거시 증거에 의하여, 소외 1은 판시 승용차에 그의 누나인 피해자 망 소외 2 및 형인 소외 3을 탑승시켜 위 소외 3의 집으로 가기 위하여 위 승용차를 운전하게 되었는데, 위 사고지점 전에 위치한 위 소외 3의 집으로의 진입로를 지나치게 되자 갓길에 정차하여 있다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의사로 황색중앙선이 설치된 회전금지구역인 이 사건 사고 지점에서 위 도로의 2차선을 가로질러 급격히 1차선으로 진입한 잘못이 있다고 인정한 다음, 이러한 위 소외 1의 잘못은 이 사건 손해 발생의 한 원인이 되었다고 할 것이고, 한편 위 임관형과 위 망인이 남매 사이인 점, 위 양인이 위 승용차에 동승하게 된 경위와 위 망인도 위 승용차를 돌려 되돌아가야 함을 알았으리라는 사정과 위 사고시간이 야간인 점 등에 비추어 위 임관형의 과실은 위 망인의 과실로 볼 수 있다고 할 것이고, 이를 피고가 배상할 손해액을 산정함에 있어 참작하기로 하되, 그 비율은 위 사실관계 등에 비추어 80%로 봄이 상당하다 고 판단하였는바, 관계 증거를 기록과 대조·검토하여 보면, 원심의 위 사실인정은 정당하고, 또한 원심의 위 과실상계 비율이 형평에 비추어 현저히 불합리하다고 할 수 없으므로, 원심판결에 소론과 같은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원심의 취지는, 피해자인 위 망인의 위와 같은 신분 관계 등을 고려하여 위 임관형의 과실을 소위 피해자측의 과실로 보아 피고가 피해자에게 배상할 손해액을 산정함에 있어 이를 참작한다는 취지 이지, 위 망인이 호의동승자라는 사실만으로 신의칙에 의하여 피고의 책임을 경감한다는 취지가 아니다. 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자들의 부담으로 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용훈(재판장) 박만호 박준서(주심) 김형선

  1. 기왕증 정도에 따라 그에 상응한 배상액을 부담케 하는 것이 타당하다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4072
    Read More
  2. ​남동생의 과실을 그 차에 동승하였다가 사망한 누나에 대한 피해자측 과실로 인정한 사례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3442
    Read More
  3. 우측 가장자리로 자전거를 타고 가다가 뒤에서 오던 자동차에 추돌당한 경우는 무과실

    Date2011.04.05 By송무팀 Views4115
    Read More
  4. 성인남자 2인의 개호가 필요하다고 본 사례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3513
    Read More
  5. 오토바이 정원초과가 과실상계의 사유가 될 수 있다고 본 사례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3642
    Read More
  6. 안전띠 입증책임, 다방종업원 일실수익

    Date2011.04.05 By관리자 Views3066
    Read More
  7. 일방통행로 반대방향에서 진행한 원동기장치자전거 운전자의 과실

    Date2011.04.05 By관리자 Views4127
    Read More
  8. 유턴 허용 시기에 관한 별도 표지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유턴을 할 수 있는 시기와 주의의무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5392
    Read More
  9. 견인차 운전자의 불법 정차와 후행 교통사고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있다.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3305
    Read More
  10. 신호등에 의하여 교통정리가 행하여지고 있는 교차로의 통행 방법과 운전자의 주의의무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5090
    Read More
  11. 사고 후 사실심의 변론종결시까지 사이에 소득이 인상된 경우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4440
    Read More
  12. 선행차량에 이어 후행차량이 연속하여 역과하는 과정에서 피해자가 사망한 경우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4480
    Read More
  13. 예상외로 손해가 확대된 경우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기간의 진행시점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3504
    Read More
  14. 피해자 주장의 후유장해가 기왕증에 의한 것인지 여부에 다툼이 있는 경우, 그 입증책임의 소재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5377
    Read More
  15. 고속도로 선행사고로 정차한 차량을 후행 차량이 추돌한 사고에 대한 과실

    Date2011.04.05 By관리자 Views4066
    Read More
  16. 횡단보도 적색불 무단횡단 과실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3600
    Read More
  17. 구조 위해 갓길 정차한 피해자 책임 묻기 어렵다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3206
    Read More
  18. 수면시간 8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16시간을 성인 2인이 교대로 개호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 사례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3187
    Read More
  19. 화물차 운송업 피해자의 일실수입을 통계소득에 의하여 산정한 사례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3778
    Read More
  20. 인과관계의 존재에 관한 입증책임은 원칙적으로 피해자에게 있다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329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Next
/ 26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