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교통사고 판결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사고후닷컴
조회 수 32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해배상(자)

 

[대법원 1987. 11. 10., 선고, 87다카1583, 판결]

【판시사항】

 

장래 수익의 증가가 예측되는 경우에 있어서 일실수익의 산정방법

【판결요지】

 

불법행위로 인하여 사망한 자의 일실수익은 사망당시의 수익을 기준으로 산정함이 원칙이나 장차 그 수익이 증가될 것이 확실하게 예측되는 객관적 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장차 증가된 수익도 일실이익의 산정에 고려되어야 한다.

【참조조문】

 

【참조판례】

 

【전문】

【원고, 피상고인】

 

김진수 외 1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정성흠

【피고, 상고인】

 

주식회사 대지토건 소송대리인 변호사 유재방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87.5.28 선고 87나333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제1점에 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판시 고속도로에서 피고소유의 덤프트럭 운전수인 소외 1이 그 자동차를 운전하여 시속 60킬로미터로 진행하다가 추월선에서 갑자기 주행선으로 진입한 과실로 소외 2가 주행선을 따라 운전하고 있던 포니승용차를 들이받아 거기에 타고 있던 망 소외 3이 사망한 사실을 확정하고 나서 소외 2는소외 1이 추월선에서 주행선으로 진행하기 위하여 깜박등을 켜고 진입예고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전방을 잘 살피지 아니하고 달리던 속도 그대로 진행하다가 이 사건 사고가 발생한 것이므로 소외 2에게도 과실이 있다 할 것인데 위 망인은 소외 2의 처남으로서 연휴를 이용하여 함께 놀러가기 위하여 위 차에 탑승하였다가 위 사고를 당한 것이므로 소외 2의 과실은 위 망인의 과실로서 피고의 손해배상 책임의 범위를 정함에 있어서 참작하여야 한다는 피고의 주장에 대하여 이 사건 사고에 있어서 소외 2에게 그와 같은 과실이 있다고 인정할 만한 증거가 없다고 하여 위 과실상계 항변을 배척하고 있다.


기록에 비추어 원심의 판단은 옳게 수긍이 가고 거기에 주장하는 바와 같은 채증법칙을 어긴 위법이 없고 이 사건 도로의 상황과 소외 1의 작업과정을 아울러 살펴보더라도 소외 2에게 주장하는 바와 같은 과실이 있거나 과실상계를 하기 위한 과실로서의 사회통념상, 신의성실의 원칙상 또는 공동생활상 요구되는 부주의가 있었다고도 보여지지 아니한다. 주장은 이유없다.


제2점에 관하여,
불법행위로 인하여 사망한 자의 일실수익은 사망당시의 수익을 기준으로 산정함이 원칙이나 장차 그 수익이 증가될 것이 확실하게 예측되는 객관적 자료가 있는 경우에는 장차 증가된 수익도 일실이익의 산정에 고려되어야 한다( 1982.7.13선고 82다카137판결 참조).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증거에 의하여 위 망인 1979.3.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그해 3.28 육군소위로 임관되어 위 사고당시에는 육군대위로서 판시와 같은 보수를 받고 있다가 1986.4.1 총무처에서 시행한 제22회 사관출신 행정사무관 특별채용시험에 합격하여 중앙공무원교육원에 그해 4.7부터 5.31까지 파견연수교육의 명을 받고 있었고 위 연수교육을 마침과 동시에 전역하여 행정사무관으로 임용될 예정으로 있었는데 위 사고로 인하여 사망한 사실 위 망인과 같이 특별채용시험애 합격한 사관학교출신 장교들 49명은 모두 1986.5.31 예편되어 그해 6.1 행정사무관으로 임용됨과 동시에 초임 호봉으로 4호봉을 부여받은 사실 및 위와 같이 행정사무관으로 임용되면 국가공무원법의 관계규정에 의하여 정년인 61세까지 판시와 같이 승급되는 사실등을 확정한 다음 사실이 이와 같다면 망인도 이 사건 사고가 없었더라면 위 합격자들과 같이 소정의 교육을 마치고 행정사무관으로 임용되어 정년시까지 정기승급될 것이 확실시되므로 위 망인의 장래 수입상실액은 그 기대되는 월 급여액을 기준으로 하여 산정하여야 한다고 판시하고 있다.


원심은 위와 같은 사실인정과 판단은 정당하고 거기에 일실수익산정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없다.


군인사법 제7조 제1호에 의하면 장기복무장교의 의무복무기간은 10년으로 하되 제5년차에 1회의 전역지원을 할 수 있다고 규정되어 있는데 이는 장기복무장교는 제5년차에 1회 전역지원을 할 수 있다는 것이지 전역지원을 하면 그때 바로 전역되어야 하는 것으로 풀이되지 아니하므로 위 망인이 5년을 넘게 근무하였다 하여 반드시 10년을 복무하여야 할 근거는 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위 법규를 탓하여 원심이 인정한 망인의 일실수익산정의 기초를 특별사정으로 인한 손해라고 할 수는 없다 하겠다. 주장은 이유없다.


그러므로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정기승(재판장) 이명희 윤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7 다른 운행자에 대하여 자신이 ‘다른 사람’임을 주장할 수 있는지 여부 사고후닷컴 2020.05.01 255
386 단순한 차량 동승자에게 운전자에게 안전운행을 촉구할 주의의무가 있다고 할 수 없다 사고후닷컴 2014.01.24 7421
385 당사자의 사망으로 인한 소송절차의 중단을 간과하고 심리·선고한 판결의 효력 사고후닷컴 2020.01.20 251
384 대위로 복무 중이던 피해자의 일실이익 산정과 일실퇴직금 범위 사고후닷컴 2019.08.21 404
383 대위로 복무 중이던 피해자의 일실이익손해 산정 사고후닷컴 2011.04.05 4733
382 대체버스의 운행중 일으킨 사고에 대하여 회사의 운행자책임을 인정한 사례 사고후닷컴 2019.11.12 332
381 대표이사이던 자가 회사의 대표이사로 65세가 될 때까지 가동할 수 있다고 본 사례 사고후닷컴 2011.04.05 4276
380 대학교 전자공학과 3학년 피해자의 일실수입을 초급대학 졸업자의 전경력 평균임금을 수긍한 사례 사고후닷컴 2011.04.05 4251
379 도로보수공사를 함에 있어서 교통사고 손해에 관하여 시의 배상책임을 인정한 사례 사고후닷컴 2019.12.09 314
378 도로에 주차한 버스로 인한 추돌사고에 대하여 추돌한 운전사의 과실을 40%로 본 사례 사고후닷컴 2019.08.29 527
377 도로의 보존상 하자를 인정하기 위하여 고려할 사정 사고후닷컴 2019.10.23 306
376 도시일용노동의 가동연한은 만 65세까지도 가동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경험칙에 합당하다 사고후닷컴 2020.06.16 365
375 도시일용노임은 건설노임단가의 제조부문이 아닌 공사부문 보통인부의 노임 사고후닷컴 2011.04.05 4227
374 도주 차량에 의하여 제3자가 손해를 입은 경우, 경찰관의 추적행위가 위법한 것인지 여부 사고후닷컴 2020.03.30 245
373 동일사실에 관하여 상반되는 감정결과의 취사선택과 그 이유 명시 요부 사고후닷컴 2019.06.12 310
372 두 가지 이상의 수입상실액을 모두 합산하여 일실수입을 산정하기 위한 요건 사고후닷컴 2009.01.14 6010
371 두 가지 이상의 수입원에 종사하고 있는 경우 개별적으로 평가하여 합산하여야 한다 사고후닷컴 2019.11.18 252
370 두 종류의 수입원을 가진 피해자의 일실수입 산정 기준 사고후닷컴 2019.09.24 311
369 둘 이상의 수입이 있는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경우 일실수익의 산정 방법 사고후닷컴 2020.02.26 209
368 렉카(wrecker)와 기중기의 구별 기준 사고후닷컴 2020.03.07 22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6 Next
/ 26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