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교통사고 판결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사고후닷컴
조회 수 31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해배상(자)

 

[대법원 1989. 6. 27., 선고, 88다카14076, 판결]

【판시사항】

 

가. 동일사실에 관하여 상반되는 감정결과의 취사선택과 그 이유 명시 요부(소극)
나. 이유모순과 증거없이 사실을 인정한 위법이 있다 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판결요지】

 

가. 감정은 법원이 어떤 사항을 판담함에 있어 특별한 지식과 경험을 필요로 하는 경우 그 판단의 보조수단으로서 이를 이용하는데에 지나지 않으므로 동일한 사실에 관하여 상반되는 수개의 감정결과가 있을 때에 법원이 그 중 하나를 채용하여 사실을 인정하였다면 그것이 경험칙이나 논리법칙에 위배되지 않는 한 적법하고 어느 하나를 채용하고 그 나머지를 배척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명시할 필요가 없다.


나. 이유모순과 증거없이 사실을 인정한 위법이 있다 하여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참조조문】

 

【참조판례】

 

【전문】

【원고, 피상고인】

 

윤진수 소송대리인 변호사 허경만 외 1인

【피고, 상고인】

 

주식회사 거창관광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평우 외 3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88.4.14. 선고 87나2537 판결

【주 문】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부분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1. 피고 소송대리인들의 상고이유 제1점 내지 제3점을 본다.
감정은 법원이 어떤 사항을 판단함에 있어 특별한 지식과 경험칙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그 판단의 보조수단으로서 이를 이용하는 데에 지나지 않으므로 동일한 사실에 관하여 상반되는 수개의 감정결과가 있을 때에 법원이 그중 하나를 채용하여 사실을 인정하였다면 그것이 경험칙이나 논리법칙에 위배되지않는 한 적법하고 어느 하나를 채용하고 그 나머지를 배척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명시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당원 1983.7.26. 선고 82누289 판결 ; 1987.12.22. 선고 86다카2968 판결 ; 1988.3.8. 선고 87다카1354 판결 각 참조). 이 사건에서 원심은 원고의 신체장해의 정도에 관한 의사 김태승의 신체감정결과와 의사 이덕용의 신체감정결과 중 위 이덕용의 감정결과를 채용하고 위 김태승의 감정결과는 배척하였는 바, 위 이덕용의 감정내용을 국가배상법시행령 별표 2와 견주어 보면 위 감정은 위 별표 2 소정의 신체장해등급과 노동력상실율표를 기준으로 평가하였음이 명백하므로, 위 감정을 소론과 같이 의학적, 문헌적 근거가 전혀없는 자의적인 평가라고 볼수 없을 뿐 아니라 맥브라이드표를 참작하지 않았다고 하여 위법하다고 할수 없는 것이어서 이 감정을 채용한 원심조치에 경험칙이나 논리법칙에 위배한 허물을 발견할 수 없다.


결국 원심판결에 채증법칙위반과 심리미진 및 노동능력상실율평가기준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는 논지는 모두 이유없다.
 
2.  같은 상고이유 제4점을 본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손해배상책임의 발생에 관한 판시이유로 제1심판결 이유를 그대로 인용한 다음, 손해배상의 범위에 관하여 원고는 이 사건 사고로 말미암아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 이유설시와 같은 상해를 입음으로써 우측족관절의 첨족변형, 우측슬관절의 굴곡운동제한 및 저작기능의 상실등 후유증이 예상되어 보일러기사로서의 노동력이 20.252% 상실된 사실을 인정하고 위 노동능력상실율에 따라 월 83,810원의 일실이익손해를 인정하는 한편, 치과진료 및 보철비용 등 손해로 금 2,192,468원을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원고의 저작기능의 상실이나 치과치료 및 보철 등 비용은 치아손상으로 인한 것임이 명백한 바, 원심이 인용한 제1심판결 이유를 보면 원고는 이 사건 사고로 우측경골 및 비골분쇄골절상을 입은 것으로만 인정하였을 뿐 치과치료 및 보철을 요하는 차아손상을 입은 사실은 전혀 인정하고 있지 않으므로, 필경 원심판결에는 이유모순의 위법이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또 증거관계를 살펴보아도 원심이 위 치과치료 및 보철 등 비용액 인정의 증거로 삼은 서울대학교 부속병원장의 신체감정촉탁 결과는 원고의 치아손상이 이 사건 사고로 인한 것임을 인정할 자료가 되지 못하고, 또 원고가 제출한 갑제5호증의6(진단서)에 의하면 원고가 상악 좌측 제2대구치내측돌입등 치아손상을 이 사건 사고일인 1985.5.22.에 입은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사고일로부터 10개월여가 지난 1986.4.14.에 발행된 것일뿐 아니라 사고당일에 작성된진단서인 갑제5호증의 1개재를 보면 치아손상은 전혀 언급이 없는 점에 비추어 보아도 위 갑제5호증의 6의 상해발생일자 기재는 신빙성이 없고, 그 밖에 원고의 치아손상이 이 사건 사고로 입은 상해라고 인정할 만한 자료가 없다.


이 점에서 원심판결에는 이유모순과 증거없이 사실을 인정한 위법이 있고 이는 소송촉진등에 관한특례법 제12조 제2항 소정의 파기사유에 해당하므로 이점에 관한 논지는 이유있다.
 
3.  그러므로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부분을 파기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상원(재판장) 이회창 배석 김주한

  1. No Image 15Jul
    by 송무팀
    2019/07/15 by 송무팀
    Views 386 

    수리를 위하여 필요한 기간동안 영업을 못함으로 인한 수익상실이 통상손해인지 여부

  2. No Image 12Jul
    by 송무팀
    2019/07/12 by 송무팀
    Views 758 

    장차 증가될 것이 예상되는 임금수익을 기준으로 한 일실이익 상당의 손해가 통상손해인지 여부

  3. No Image 09Jul
    by 송무팀
    2019/07/09 by 송무팀
    Views 473 

    중앙선을 침범한 차량의 과실 판단

  4. No Image 08Jul
    by 송무팀
    2019/07/08 by 송무팀
    Views 435 

    합의금액의 절충을 시도한 경우 채무자에 의한 채무승인의 효과가 생기는지 여부

  5. No Image 05Jul
    by 송무팀
    2019/07/05 by 송무팀
    Views 414 

    자동차보유자의 차량에 대한 운행지배와 운행이익의 상실 여부에 관한 판단 기준

  6. No Image 04Jul
    by 송무팀
    2019/07/04 by 송무팀
    Views 363 

    겸업하고 있던 피해자의 일실이익을 산정함에 있어 2종류의 수입상실을 모두 인정한 사례

  7. No Image 03Jul
    by 송무팀
    2019/07/03 by 송무팀
    Views 456 

    수리를 위하여 맡겨진 자동차에 대한 수리기간 동안의 운행지배권의 귀속

  8. No Image 03Jul
    by 송무팀
    2019/07/03 by 송무팀
    Views 384 

    양안실명의 경우 개호비 산정 사례

  9. No Image 01Jul
    by 송무팀
    2019/07/01 by 송무팀
    Views 460 

    장차 증가될 일실수입 또는 일실퇴직금상당의 손해가 통상손해인지 여부

  10. No Image 28Jun
    by 송무팀
    2019/06/28 by 송무팀
    Views 363 

    중앙선을 넘어 자기 차선 앞으로 들어 올 것까지도 예견하여 운전할 의무가 있는지 여부

  11. No Image 27Jun
    by 송무팀
    2019/06/27 by 송무팀
    Views 430 

    여명기간 동안 성인여자 2인의 개호가 필요하다고 인정한 사례

  12. No Image 26Jun
    by 송무팀
    2019/06/26 by 송무팀
    Views 317 

    신체훼손을 당한 후 종전과 같은 직장에서 동일한 수입을 얻고 있는 경우 일실이익 산정의 당부

  13. No Image 25Jun
    by 송무팀
    2019/06/25 by 송무팀
    Views 336 

    장차 증가될 임금수익을 기준으로 산정된 일실이익 상당의 손해가 통상 손해인지 여부

  14. No Image 21Jun
    by 송무팀
    2019/06/21 by 송무팀
    Views 405 

    무단운행되는 차량임을 알고 동승한 피해자에 대한 자동차소유자의 손해배상책임의 유무

  15. No Image 21Jun
    by 송무팀
    2019/06/21 by 송무팀
    Views 791 

    사망 이후의 일실이익을 산정하는 경우

  16. No Image 18Jun
    by 송무팀
    2019/06/18 by 송무팀
    Views 338 

    1일 2교대로 2인의 성인여자의 개호를 필요로 하는 특별한 사정이 있다고 본 사례

  17. No Image 14Jun
    by 송무팀
    2019/06/14 by 송무팀
    Views 577 

    사고후 일정한 기간이 지난 시점으로부터 향후 치료비와 개호비가 필요한 경우 그 비용계산방법

  18. No Image 13Jun
    by 송무팀
    2019/06/13 by 송무팀
    Views 406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조 소정의 타인성이 부정된 사례

  19. No Image 12Jun
    by 송무팀
    2019/06/12 by 송무팀
    Views 319 

    동일사실에 관하여 상반되는 감정결과의 취사선택과 그 이유 명시 요부

  20. No Image 11Jun
    by 송무팀
    2019/06/11 by 송무팀
    Views 370 

    학교당국에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조 소정의 운행자책임을 인정한 사례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26 Next
/ 26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