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교통사고 판결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사고후닷컴
조회 수 41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해배상(자)

 

[대법원 1991. 2. 26., 선고, 90다6460, 판결]

【판시사항】

 

가. 목수의 일실수입 산정에 있어 직종별 임금실태조사보고서에 의하지 아니하고 월간거래가격에 의한 임금을 추정소득으로 하여 이를 산출한 원심의 조치를 수긍한 사례


나. 책임감경사유 내지 과실상계 사유에 관한 사실인정이나 책임감경 내지 과실상계의 비율을 정함이 사실심의 전권사항인지 여부


다. 빌라건설회사가 빌라입주자들의 교통편의를 위하여 차량을 매입하여 준 뒤 그 운행은 빌라입주자들의 자치기구인 빌라관리회에서 운전사를 고용하고 입주자들로부터 일정요금을 받아 차량운영관리비에 충당하여 왔으나 그 등록명의는 위 관리회가 법인이 아니어서 회사 명의로 소유권이전등록을 하여 둔 경우 위 회사를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조 소정의 "자기를 위하여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로 볼 것인지 여부(적극)
 

【판결요지】

 

가.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사건에서 피해자의 일실수입을 산정함에 있어서는 추정소득에 의하여 이를 평가할 수도 있는 것이며, 또한 추정소득을 평가하는 여러 자료가 있는 경우에도 일실이익의 산정이 불확실한 미래 사실의 예측임에 비추어 당해 사건에 현출된 구체적 사정을 기초로 합리적이고 객관성있는 자료에 의하여 기대수입을 산정할 수 있으면 족하고, 반드시 어느 한쪽만을 정당한 산정방법이라고 할 수 없으므로, 목수의 일실수익을 산정함에 있어 월간거래 가격에 의한 임금을 추정소득으로 하여 이를 산출한 원심의 조치는 수긍할 수 있고, 직종별임금실태조사보고서에 의하지 아니하였다 하여 위법이라 할 수 없다.


나. 피해자에게 손해의 발생이나 확대에 관하여 과실이 있는 경우에는 배상책임의 유무 및 그 범위를 정함에 있어 당연히 이를 참작하여야 할 것이나, 책임 감경사유 내지 과실상계사유에 관한 사실인정이나 책임감경 내지 과실상계의 비율을 정하는 것은 그것이 현저히 형평의 원칙에 비추어 불합리하다고 인정되지 않는 한 사실심의 전권에 속하는 사항이다.


다. 빌라건설회사가 빌라 입주자들의 교통편의를 위하여 차량을 매입하여 준 뒤 그 운행은 빌라입주자들의 자치기구인 빌라관리회에서 운전사를 고용하고 입주자들로부터 일정 요금을 받아 연료비, 보수비, 보험료, 제세공과금 등의 차량운영관리비에 충당하여 왔으나, 그 등록명의는 위 관리회가 법인이 아니어서 위 회사 명의로 소유권이전등록을 하여 둔 것이라면, 비록 회사가 위 차량의 운행에 관하여 실제로는 별다른 이해 관계가 없다고 하더라도 위 차량은 대외적으로는 여전히 위 회사의 소유인 것이고, 또 위 차량의 등록명의를 그 명의로 유보하여 둔 채 운행할 것을 허용한 것으로 볼 것이므로 위 회사는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조 소정의 "자기를 위하여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에 해당한다.
 

【참조조문】

 

【참조판례】

 

【전문】

【원고, 상고인겸 피상고인】

 

박태순 외 3인 원고들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태훈

【피고, 상고인겸 피상고인】

 

주식회사 한성주택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주원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0.8.16. 선고 89나40848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상고인 각자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1. 원고들의 상고이유를 본다.


제1점에 대하여,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사건에서 피해자의 일실수입을 산정함에 있어서는 사고당시 피해자의 소득을 기준으로 하여 이를 산정할 수도 있고, 추정소득에 의하여 이를 평가할 수도 있는 것이며, 또한 추정소득을 평가하는 여러 자료가 있는 경우에도, 일실이익의 산정이 불확실한 미래사실의 예측임에 비추어, 당해 사건에 현출된 구체적 사정을 기초로 합리적이고 객관성있는 지료에 의하여 기대수입을 산정할 수 있으면 족하고 반드시 어느 한쪽만을 정당한 산정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할 것이다.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소외 망 서수범이 사고당시 건축공사 현장에서 목수로 일하여 온 사실을 인정하고, 을(원심표기 "갑"은 오기로 보인다.) 제7호증의 1,2(월간거래가격 표지 및 내용)에 의한 사고일 무렵의 형틀목공 1일 임금 13,060원을 추정소득으로 하여 이를 기준으로 일실이익을 산출하였는 바, 원심의 이러한 조치는 수긍할 수 있고, 또 원심이 이 점에 관하여 원고가 제출한 갑제11호증의 1,2(직종별임금실태조사보고서 표지 및 내용)를 채용하지 아니하였다 하여 위법이라 할 수 없다.
논지는 이유없다.


제2점에 대하여,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사건에 있어서, 피해자에게 손해의 발생이나 확대에 관하여, 과실이 있는 경우에는 배상책임의 유무 및 그 범위를 정함에 있어서는 당연히 이를 참작하여야 할 것이나, 책임감경사유 또는 과실상계사유에 관한 사실 인정이나 그 비율을 정하는 것은, 그것이 현저히 형평의 원칙에 비추어 불합리하다고 인정되지 아니하는 한 사실심의 전권사항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당원 1990. 4. 25. 선고 90다카3062 판결1985. 11. 26. 선고 85다카1191 판결 등 참조).


원심판결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피해자에게도 설시와 같은 과실이 있었음을 인정하고 그 과실비율을 50퍼센트로 평가하였는바, 기록에 의하여 살펴보면 원심의 위 과실비율의 평가는 적절한 것으로 보여지며, 또한 원심이 제1심과 달리 피해자의 일부과실을 인정하지 않으면서도 제1심이 인정한 과실의 비율을 유지한 것은 소론과 같으나 이로써 과실비율에 대한 평가가 잘못되지 않은 한 그와 같은 원심조치가 위법하다고는 할 수 없어, 결국 원심판결에 과실상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있다고 하는 위 논지도 이유없다.
 
2.  피고 주식회사 한성주택(이하 '피고 회사'라고 함)의 상고이유를 본다. 원심이 적법하게 확정하고 있는바와 같이 피고 회사가 경기도 이천군에 한성빌라를 건축하여 분양한 후 그 입주자들과의 약정에 따라 그들의 교통편의를 위하여 이 사건 사고차량인 판시 봉고차를 매입하여 준 것이고 다만 그 차량의 운행은 입주자들의 자치기구인 판시 한성빌라 관리회에서 운전사(소외 목민호)를 고용하고 입주자들로부터 일정요금을 받아 연료비, 보수비, 보험료, 제세공과금 등의 차량관리운영비에 충당해 왔으나, 그 차량의 소유명의에 관하여는 위 관리회가 비법인 이어서 그 명의로 소유권이전등록을 받을 수 없었고 달리 위 관리회를 대신하여 그 명의이전을 받기로 정해진 사람도 없었던 사정 등에 의해서 당초부터 피고 회사 소유명의로 유보한채 위 차량을 운행하게 한 것이라면 비록 피고 회사가 위 차량의 운행에 관하여 실제로는 별다른 이해관계가 없었다 하더라도, 위 차량은 대외적으로는 여전히 피고 회사의 소유인 것이고, 또 위 차량의 등록명의를 그 명의로 유보해 둔채 운행할 것을 허용한 것으로 볼 것이므로 피고 회사는 자동차손해보상보장법 제3조 소정의 "자기를 위하여 자동차를 운행하는자"에 해당한다 할 것이다.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피고 회사에 손해배상책임을 인정한 조치는 정당하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위법사유가 있다 할 수 없다. 또 설사 피고 회사가 위 관리회에 그 명의이전을 요청한 사실이 있다거나 또는 당시 관리회 회장이던 소외 이순구나 관리인 소외 김명재등이 자신들 명의로 명의이전할 것을 거절하는 등의 사실이 있었다 하더라도 위 결론을 달리 할 사유라고는 할 수 없다. 또 소론이 들고 있는 판례는 이 사건에 적절한 것이 되지 못한다. 논지는 이유없다.
 
3.  그러므로 원고들과 피고 주식회사 한성주택의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상고인 각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주한(재판장) 최재호 윤관 김용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7 신호를 위반하여 교차로에 진입하여 올 경우까지 예상하여야 할 주의의무가 있는지 여부 사고후닷컴 2020.03.02 299
266 신호등에 의하여 교통정리가 행하여지고 있는 교차로의 통행 방법과 운전자의 주의의무 사고후닷컴 2011.04.05 5087
265 신호등에 따라 진행하던 운전자는 비록 과속한 잘못이 있다 하더라도 면책된다고 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0.04.10 211
264 신호등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에 있어 영조물 하자에 대한 판단 사례 사고후닷컴 2020.04.01 262
263 신호기의 하자로 인한 국가배상법 제5조 소정의 배상책임의 귀속 주체(=지방자치단체) 사고후닷컴 2020.03.19 220
262 신호기 고장으로 사고가 발생한 경우, 지방자치단체뿐만 아니라 국가도 손해배상책임을 지는지 여부 사고후닷컴 2020.03.15 246
261 신체훼손을 당한 후 종전과 같은 직장에서 동일한 수입을 얻고 있는 경우 일실이익 산정의 당부 사고후닷컴 2019.06.26 313
260 신체장해로 인한 노동능력상실율의 결정기준 사고후닷컴 2011.04.05 8747
259 신체장애로 인한 가동능력상실률의 평가방법 사고후닷컴 2019.09.05 375
258 신체감정비용을 별도로 소구할 이익이 있는지 여부 사고후닷컴 2019.04.18 884
257 신체감정 촉구에 불응한 이유만으로 일실수입 청구를 배척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사고후닷컴 2020.04.28 222
256 식물인간이 된 피해자의 향후치료비를 정기금으로 지급할 것을 명한 원심의 조처를 정당하다고 한 사례 사고후닷컴 2019.05.24 398
255 식물인간 피해자에 여명기간 동안 1.5인의 개호 인정한 사례 사고후닷컴 2010.07.30 6145
254 시효중단사유로서의 최고 및 의사표시의 해석 사고후닷컴 2020.06.04 294
253 승낙피보험자 자신이 피보험자동차로 인한 교통사고로 피해를 입은 경우 사고후닷컴 2020.02.18 250
252 승객이 사망한 경우 자기에게 과실이 없음을 내세워 책임을 면할 수 없다 사고후닷컴 2019.04.19 322
251 수입에 대한 입증이 없는 경우, 종전직장에서 얻던 수입을 일실이익의 기초로 할 수 있는지 여부 사고후닷컴 2011.04.05 3201
250 수익이 증가될 고도의 개연성이 있는 경우에는 장차 증가될 수익도 마땅히 고려해야 한다 사고후닷컴 2011.04.05 3619
249 수영실기능력이 상실된 전 국가대표 수영선수에게 금 20,000,000원의 위자료가 인정된 사례 사고후닷컴 2011.04.05 4087
248 수술전 상태의 노동능력상실율을 토대로 일실이익을 산정한 조치의 적부 사고후닷컴 2019.07.17 427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6 Next
/ 26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