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교통사고 판결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사고후닷컴
조회 수 26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해배상(자)

[대법원 1992. 11. 10., 선고, 92다30849, 판결]

【판시사항】

군 여단장 갑의 자가용승용차 운전병 을이 갑 몰래 차를 타고 부대를 빠져 나가 술을 마신 후 병으로 하여금 운전하게 하고 이에 동승하여 귀대하다가 사고가 발생하여 사망하였다면, 을은 무단운전을 개시하고 나아가 병의 무단운전을 승낙하고 동승한 것이므로 갑에게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이나 민법 제756조에 따른 배상책임을 물을 수 없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군 여단장 갑의 자가승용차 운전병 을이 갑 몰래 차를 타고 부대를 빠져나가 술을 마신 후 병으로 하여금 운전하게 하고 이에 동승하여 귀대하다가 사고가 발생하여 사망하였다면, 을은 무단운전을 개시하고 나아가 병의 무단운전을 승낙하고 동승한 것이므로 갑에게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이나 민법 제756조에 따른 배상책임을 물을 수 없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민법 제756조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제3조

【참조판례】

대법원

 

【전문】

【원고, 상고인 겸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겸 피상고인】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2.6.11. 선고 91나68436 판결

【주 문】

상고를 모두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각자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1.  원고 1 내지 3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에 대하여, 추가상고이유서는 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나서 제출된 것이므로 상고이유서에 기재된 상고이유를 보충하는 범위 안에서 본다. 


가.  원심판결 이유를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이 망 소외 1에 대한 관계에 있어서 이 사건 사고자동차는 피고의 운행지배와 운행이익을 벗어난 것이라는 이유로 피고의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 소정의 책임을 부정한 설시이유를 수긍할 수 있고, 거기에 채증법칙을 어기거나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에 관한 법리나 사용자의 배상책음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위법이 있다고 할 수 없다.
 
나.  원심이 확정한 사실에 의하면, 이 사건 사고자동차인 (차량번호 생략) 로얄프린스 승용차는 육군 제○○○여단장인 피고 소유의 서울숙소 자가용이고, 위 소외 1은 그 운전병이라는 것이고, 그런데 위 소외 1은 1989.2.25. 서울의 피고 자택에서 피고의 처를 태우고 경기 포천에 있는 피고의 공관에 도착하여 대기중 피고의 공관차 운전병인 소외 2로부터 외박나간 사무실 근무병인 소외 3 등이 술을 마시자고 연락이 왔으니 위 사고자동차를 타고 같이 나가 술을 마시자는 제의를 받고 이를 승낙한 후, 정문보초에게 피고의 심부름을 간다고 거짓말을 하고 부대를 빠져 나와 이튿날 03:50경까지 술을 마신 후, 위 소외 2가 숙소 자가용을 운전해보겠다고 하자 이를 승낙하여 위 소외 2가 운전하는 이 사건 사고자동차에 동승하여 귀대하던 도중 이 사건 사고가 발생하였다는 것인바, 그렇다면 위 소외 1은 이 사건 사고자동차의 운전사로서 무단운전을 개시하였고, 나아가 위 소외 2의 무단운전을 승낙하고 거기에 동승한 것으로서, 이러한 사실관계에서는 위 소외 1은 피고에게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이나 민법 제756조에 따른배상책임을 물을수 없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따라서 논지는 이유가 없다.
 
2.  기록에 의하면 피고는 1992.8.5. 이 사건 소송 기록접수통지서를 송달받았는데 피고소송대리인은 상고이유서 제출기간이 지난 같은 해 8.31. 에야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였고, 피고로부터는 상고이유서의 제출이 없으니, 피고는 소정의 기간 내에 상고이유서를 제출하지 아니한 것임이 명백하고, 상고자에도 상고이유의 기재가 없다.
 
3.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각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1. 렌터카를 운행자격이 없는 자에게 대여해 준 경우 묵시적 승인이 있다고 본 사례

    Date2020.03.20 By송무팀 Views287
    Read More
  2. 렌트카 사고차량에 동승한 피해자의 과실을 40퍼센트로 본 사례

    Date2014.08.15 By사무국장 Views4916
    Read More
  3. 렌트카 약관에 위배하여 사고난 경우 렌트카회사를 자동차 운행자로 인정한 사례

    Date2019.11.19 By송무팀 Views290
    Read More
  4. 렌트카 회사의 무면허운전 면책주장을 배척한 사례

    Date2020.04.21 By송무팀 Views195
    Read More
  5. 망인의 일실수입을 산정함에 있어서 퇴직연금에서 생계비를 공제하여야 하는지 여부

    Date2019.09.09 By송무팀 Views324
    Read More
  6. 매월 지급되어 온 차량유지비가 일실수익산정의 기초가 된다고 한 사례

    Date2019.11.26 By송무팀 Views293
    Read More
  7. 면책의 유효요건인 무면허운전에 대한 “묵시적 승인”의 존부에 관한 판단 기준

    Date2020.01.15 By송무팀 Views232
    Read More
  8. 목발보행 중 넘어져 추가상해를 입은 경우, 추가상해에 관한 인과관계를 인정한 사례

    Date2020.01.14 By송무팀 Views225
    Read More
  9. 목수의 일실소득을 추정소득으로 산출한 원심의 조치를 수긍한 사례

    Date2019.08.13 By송무팀 Views420
    Read More
  10. 무단운전으로 배상책임을 물을 수 없다고 한 사례

    Date2019.10.25 By송무팀 Views265
    Read More
  11. 무단운행되는 차량임을 알고 동승한 피해자에 대한 자동차소유자의 손해배상책임의 유무

    Date2019.06.21 By송무팀 Views401
    Read More
  12. 무보험자동차상해, 농촌일용 노임도 보험금 지급대상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4222
    Read More
  13. 무보험차사고보험에 의하여 보상을 받을 수 있는 때라도 자기신체사고의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다고 한 사례

    Date2017.02.03 By사무국장 Views2432
    Read More
  14. 무상동승이라 하여 손해액을 감액할 사유로 삼기는 어렵다고 한 사례

    Date2019.09.10 By송무팀 Views384
    Read More
  15. 민간인이 대대장 지프차에 탑승하여 교통사고로 사망한 경우에 있어 국가의 배상책임을 인정한 사례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4881
    Read More
  16.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8호 소정 재심사유의 의미

    Date2019.12.24 By송무팀 Views264
    Read More
  17.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의 중앙선침범에 대처할 주의의무가 없다고 한 사례

    Date2019.05.20 By송무팀 Views350
    Read More
  18. 반대차선의 바깥 차선 쪽으로 들어오는 차를 미리 발견한 운전자의 주의의무와 중앙선침범의 예상

    Date2019.08.16 By송무팀 Views388
    Read More
  19. 밤에 도로의 가장자리에 자동차를 주차하는 자의 법령상 의무

    Date2011.04.05 By상담실장 Views4986
    Read More
  20. 법무사의 가동연한을 만 70세가 될 때까지라고 본 원심의 조치를 수긍한 사례

    Date2019.10.22 By송무팀 Views264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6 Next
/ 26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