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교통사고 판결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사고후닷컴
조회 수 27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해배상(자)

[대법원 1992. 12. 8., 선고, 92다42583, 판결]

【판시사항】

가.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있어 손해 및 가해자를 안다는 것의 의미


나. 상해의 후유증으로 인하여 불법행위 당시에는 예상할 수 없었던 손해가 발생하거나 예상외로 손해가 확대된 경우 새로이 발생 또는 확대된 손해를 알았다고 볼 시점(그러한 사유가 판명된 때)

【판결요지】

가.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있어 손해 및 가해자를 안다는 것은 손해의 발생사실과 손해가 가해자의 불법행위로 인하여 발생하였다는 사실을 알면 되고 손해의 정도나 액수를 구체적으로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나. 통상의 경우 상해의 피해자는 상해를 입었을 때 손해를 알았다고 보아야 하고, 다만 후유증 등으로 인하여 불법행위 당시에는 예상할 수 없었던 새로운 손해가 발생하였다거나 예상외로 손해가 확대된 경우에는 그러한 사유가 판명되었을 때 비로소 새로이 발생 또는 확대된 손해를 알았다고 보아야 한다.

【참조조문】

민법 제766조 제1항

【참조판례】

가.나.
대법원 1992.4.14. 선고 92다2011 판결(공1992,1598) / 가.
대법원 1990.1.12. 선고 88다카25168 판결(공1990,457),
1991.3.22. 선고 90다8152 판결(공1991,1242) / 나.
대법원 1988.12.27. 선고 87다카2005 판결(공1989,223),
1992.5.22. 선고 91다41880 판결(공1992,1969)

 

【전문】

【원고, 상고인 겸 피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겸 상고인】

주식회사 광명레미콘 소송대리인 변호사 김선명

【원심판결】

대구고등법원 1992.8.14. 선고 91나4721 판결

【주 문】

상고를 각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상고인 각자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원고들 소송대리인 및 피고 소송대리인의 상고이유를 함께 판단한다.


소멸시효의 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그 채택증거에 의하여 원고 1이 1986.9.28. 이 사건 사고를 당하여 약 32주간의 가료를 요하는 양측하지마비, 제1요추 압박골절 및 후방전위라는 중상을 입고 치료를 받다가, 1986.10.20. 요추고정수술, 십이지장궤양천공에 의한 복막염, 복강내 농양 및 위피부누공, 장유착에 의한 장폐색증 등 후유증에 대한 수술을 받고, 1987.3.5. 기관지협착증이 나타나 그 치료를 위한 기관절개 및 성형수술을 받는 등 일반외과, 신경외과 및 이비인후과적인 치료를 받고 일단 퇴원하였는데, 그 후 계속적인 배변장애와 통증이 있어 같은 해 10.15. 입원하여 같은 달 24.까지 비뇨기과에서 요류역학검사 및 성기능 검사를 받은 결과 신경인성 방광 및 발기부전이라는 새로운 증상이 발견된 사실, 위 신경인성 방광 및 발기부전의 비뇨기과적 후유장해는 요수손상이나 하지마비 등의 상해를 입은 사람에게는 누구에게나 항상 나타나는 부수적 증상은 아니고, 일반인은 물론 의사라도 비뇨기과 전문의가 아닌 이상, 요수손상이나 십이지장, 위 등 장기의 손상 또는 기관지의 장해가 발견되었다 하여 이와 같은 비뇨기과적 후유장해의 발생을 예견하기는 어려운 사실을 인정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보면 원심의 위와 같은 사실인정은 옳고, 그 사실인정 과정에 피고 주장과 같은 채증법칙위배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은 피해자나 그 법정대리인이 그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시효로 인하여 소멸하는 것인바, 여기에서 그 손해 및 가해자를 안다는 것은 손해의 발생사실과 그 손해가 가해자의 불법행위로 인하여 발생한 것이라는 사실을 알면 되는 것이고, 그 손해의 정도나 액수를 구체적으로 알아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통상의 경우 상해의 피해자는 상해를 입었을 때 그 손해를 알았다고 보아야 할 것이고, 다만 그 후 후유증 등으로 인하여 불법행위 당시에는 예상할 수 없었던 새로운 손해가 발생하였다거나 예상외로 손해가 확대된 경우에 있어서는 그러한 사유가 판명되었을 때 비로소 새로이 발생 또는 확대된 손해를 알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원심이 적법히 확정한 바와 같이 원고 1이가 1986.9.28. 이 사건 사고를 당하여 양측하지마비, 제1요추 압박골절 및 후방전위라는 진단 아래 치료를 받다가, 1986.10.20. 요추고정수술, 십이지장궤양천공에 의한 복막염, 복강내농양 및 위피부누공, 장유착에 의한 장폐색증 등 후유증에 대한 수술을 받고, 1987.3.5. 기관지협착증이 나타나 그 치료를 위한 기관절개 및 성형수술을 받는 등 일반외과, 신경외과 및 이비인후과적인 치료를 받고 일단 퇴원하였다가, 그 후 계속적인 배변장애와 통증이 있어 같은 해 10.15. 입원하여 같은 달 24.까지 비뇨기과에서 요류역학검사 및 성기능 검사를 받은 결과 종래 예측할 수 없었던 신경인성 방광 및 발기부전이라는 새로운 증상이 발견되었다면, 원고들은 위 비뇨기과적 후유증 이외의 장해로 인한 손해에 대하여는 특단의 사정이 없는 한 사고 당시인 1986.9.28.에 그 손해와 가해자를 알았다 할 것이므로, 그 손해배상채권의 소멸시효는 이때부터 진행된다고 할 것인바, 원심이 같은 취지에서 이 부분에 대한 원고들의 손해배상청구권이 소멸시효에 걸렸다고 판단하였음은 옳고, 거기에 원고들 주장과 같은 소멸시효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다만 원심은 이 부분에 대한 원고들의 손해배상청구권이 수술치료를 받은 1987.3.5.부터 그 소멸시효가 기산될 수도 있는 것처럼 어색한 설시를 하고 있으나, 이는 판결결과에는 영향이 없다.).


또, 원심이 확정한 바와 같이 이 사건 사고 당시에는 예상할 수 없었던 판시와 같은 비뇨기과적 후유증이 1987.10.24.경에야 판명되었다면, 원고들은 그로 인한 손해를 그 때에 비로소 알게 되었다고 할 것이므로 같은 견해에서 그 부분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가 그 때부터 진행한다고 한 원심의 판단도 옳고, 거기에 피고 주장과 같은 소멸시효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이 점에 관한 쌍방의 상고논지는 모두 이유 없다.


과실 또는 과실상계의 점에 대하여


원심판결 이유에 의하면, 원심은 이 사건 사고 당시 피고의 피용자인 소외 김규현이 판시 트럭의 타이어 교체를 위하여 잭 2개를 받쳐 차체를 들어 올림에 있어 평탄한 장소에 안전하게 잭을 설치하지 아니하였고, 원고 1이 차체 밑에 들어가는 것을 적극적으로 제지하지 아니한 과실이 있고, 또 피해자인 원고 1에게도 잭이 위험하게 설치되어 있음을 알면서도 위 김규현의 만류를 듣지 아니한 채 차체 밑에 들어간 과실이 있다고 인정하고, 쌍방의 판시와 같은 과실을 비교교량하여 이 사건 사고 발생에 있어서의 피해자의 과실비율을 3분의 2로 봄이 상당하다고 판단하였는바, 기록에 비추어 보면 이 점에 관한 원심의 사실인정과 판단도 옳은 것으로 수긍이 되고, 거기에 채증법칙위배나 과실상계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다.


이 점에 관한 쌍방의 상고논지 역시 이유 없음에 귀착된다.


그러므로 상고를 모두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상고인 각자의 부담으로 하여 관여 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1. No Image 24Dec
    by 송무팀
    2019/12/24 by 송무팀
    Views 264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8호 소정 재심사유의 의미

  2. No Image 10Mar
    by 송무팀
    2020/03/10 by 송무팀
    Views 264 

    자동차대여사업자가 무면허자에게 대여한 행위와 교통사고 사이에 상당 인과관계가 있는지 여부

  3. No Image 27Mar
    by 송무팀
    2020/03/27 by 송무팀
    Views 264 

    급여 소득자가 재직 중 사망한 경우, 일실퇴직금 손해의 산정방법

  4. No Image 25Oct
    by 송무팀
    2019/10/25 by 송무팀
    Views 265 

    무단운전으로 배상책임을 물을 수 없다고 한 사례

  5. No Image 23Jan
    by 송무팀
    2020/01/23 by 송무팀
    Views 265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에 대하여 공무원 개인이 손해배상책임을 지는지 여부

  6. No Image 17Mar
    by 송무팀
    2020/03/17 by 송무팀
    Views 265 

    '운행'과 도로교통법 제2조 제19호 소정의 '운전'이 동일한 개념인지 여부

  7. No Image 01Apr
    by 송무팀
    2020/04/01 by 송무팀
    Views 266 

    신호등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에 있어 영조물 하자에 대한 판단 사례

  8. No Image 08Jan
    by 송무팀
    2020/01/08 by 송무팀
    Views 267 

    농촌에 거주하는 미성년자의 일실수입을 도시일용노임으로 산정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9. No Image 24Oct
    by 송무팀
    2019/10/24 by 송무팀
    Views 268 

    고속도로상에 들어온 개를 피하려다 사고가 난 경우 도로공사의 책임을 인정한 사례

  10. No Image 13Feb
    by 송무팀
    2020/02/13 by 송무팀
    Views 268 

    피해자의 공동불법행위자 각자에 대한 과실비율이 다른 경우, 피해자 과실의 평가 방법

  11. No Image 28Oct
    by 송무팀
    2019/10/28 by 송무팀
    Views 269 

    증가될 수익을 기준으로 산정된 일실이익은 통상손해에 해당된다

  12. No Image 21Nov
    by 송무팀
    2019/11/21 by 송무팀
    Views 269 

    사고일로부터 향후 치료비가 필요한 날까지의 중간이자를 공제함이 옳다고 한 사례

  13. No Image 16Jan
    by 송무팀
    2020/01/16 by 송무팀
    Views 269 

    형사판결에서의 인정 사실을 그대로 인정한 원심판결을 심리미진 등을 이유로 파기한 사례

  14. No Image 02Jan
    by 송무팀
    2020/01/02 by 송무팀
    Views 272 

    정신적 능력 내지 지능이 결여된 경우 손해 및 가해자를 알았다고 할 수 있는지 여부

  15. No Image 11Mar
    by 송무팀
    2020/03/11 by 송무팀
    Views 273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특약'의 법적 성질(=인보험) 및 그 보험약관상 무면허운전 면책조항의 효력

  16. No Image 02Sep
    by 송무팀
    2019/09/02 by 송무팀
    Views 274 

    국가배상법시행령의 기준에 따라 노동능력상실율 산정한 조치가 정당하다고 본 사례

  17. No Image 29Oct
    by 송무팀
    2019/10/29 by 송무팀
    Views 276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있어 손해 및 가해자를 안다는 것의 의미

  18. No Image 13Jan
    by 송무팀
    2020/01/13 by 송무팀
    Views 278 

    기왕증이 있는 상태에서 사고로 장해가 남게 된 경우, 노동능력상실률 산정 방법

  19. No Image 24Apr
    by 송무팀
    2020/04/24 by 송무팀
    Views 278 

    고속도로 상 불법 정차와 후행 교통사고 사이의 상당인과관계를 인정한 사례

  20. No Image 16May
    by 송무팀
    2019/05/16 by 송무팀
    Views 280 

    사고차량에 대한 동승이 오직 동승자의 편의와 이익을 위해 제공된 경우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6 Next
/ 26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