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교통사고 판결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사고후닷컴
조회 수 28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해배상(자)

[대법원 1994. 5. 27., 선고, 94다6819, 판결]

【판시사항】

가. 상법 제724조 제2항에 의하여 피해자에게 인정되는 직접청구권의 법적 성질


나. 위 "가"항 규정의 취지가 법원이 보험회사가 보상하여 할 손해액을 산정함에 있어서 자동차종합보험약관상의 지급기준에 구속될 것을 의미하는지 여부

【판결요지】

가. 상법 제724조 제2항에 의하여 피해자에게 인정되는 직접청구권의 법적 성질은 보험자가 피보험자의 피해자에 대한 손해배상채무를 병존적으로 인수한 것으로서 피해자가 보험자에 대하여 가지는 손해배상청구권이고 피보험자의 보험자에 대한 보험금청구권의 변형 내지는 이에 준하는 권리가 아니다.


나. 위 "가"항 규정의 취지가 법원이 보험회사가 보상하여야 할 손해액을 산정함에 있어서 자동차종합보험약관상의 지급기준에까지 구속될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참조조문】

상법 제724조 제2항

【참조판례】

대법원 1993.5.11. 선고 92다2530 판결(공1993상,1665)

 

【전문】

【원고, 피상고인】

 

【피고, 상고인】

신동아화재해상보험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경수근

【원심판결】

서울고등법원 1993.12.14. 선고 93나33427 판결

【주 문】

상고를 기각한다.
상고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
 

【이 유】

상고이유에 대하여


상법 제724조 제2항에 의하여 피해자에게 인정되는 직접청구권의 법적 성질은 보험자가 피보험자의 피해자에 대한 손해배상채무를 병존적으로 인수한 것으로서 피해자가 보험자에 대하여 가지는 손해배상청구권이고 피보험자의 보험자에 대한 보험금청구권의 변형 내지는 이에 준하는 권리는 아니라고 보아야 할 것인바(당원 1993.5.11. 선고 92다2530 판결 참조), 원심이 이와 같은 입장에서, 위 규정이 피해자가 직접 청구할 수 있는 보상액을 "보험금의 한도 내"라고 규정하고 있음을 들어 피고가 보상할 손해액은 자동차종합보험약관상의 지급기준(과실상계, 위자료, 장례비, 일실수입에 관한 기준)에 의한 금액범위 내로 한정되어야 한다는 피고의 주장에 대하여, 위 규정의 취지가 법원이 피고가 보상하여야 할 손해액을 산정함에 있어서 약관상의 지급기준에까지 구속될 것을 의미할 것은 아니라는 이유로 이를 배척하고, 또한 지연손해금에 대하여 이 사건 사고일 이후로서 원고가 구하는 1993.2.10.을 기산일로 삼아 그 지급을 명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음은 옳고, 거기에 소론과 같은 판단유탈 및 상법 제724조 제2항 소정의 직접청구권에 관한 법리오해의 위법이 있다 할 수 없으므로, 논지는 이유가 없다.


이에 상고를 기각하고 상고비용은 패소한 피고의 부담으로 하기로 관여 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상원(재판장) 윤영철 박만호(주심) 박준서

  1. No Image 24Dec
    by 송무팀
    2019/12/24 by 송무팀
    Views 264 

    민사소송법 제422조 제1항 제8호 소정 재심사유의 의미

  2. No Image 10Mar
    by 송무팀
    2020/03/10 by 송무팀
    Views 264 

    자동차대여사업자가 무면허자에게 대여한 행위와 교통사고 사이에 상당 인과관계가 있는지 여부

  3. No Image 27Mar
    by 송무팀
    2020/03/27 by 송무팀
    Views 264 

    급여 소득자가 재직 중 사망한 경우, 일실퇴직금 손해의 산정방법

  4. No Image 25Oct
    by 송무팀
    2019/10/25 by 송무팀
    Views 265 

    무단운전으로 배상책임을 물을 수 없다고 한 사례

  5. No Image 23Jan
    by 송무팀
    2020/01/23 by 송무팀
    Views 265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에 대하여 공무원 개인이 손해배상책임을 지는지 여부

  6. No Image 17Mar
    by 송무팀
    2020/03/17 by 송무팀
    Views 265 

    '운행'과 도로교통법 제2조 제19호 소정의 '운전'이 동일한 개념인지 여부

  7. No Image 01Apr
    by 송무팀
    2020/04/01 by 송무팀
    Views 266 

    신호등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에 있어 영조물 하자에 대한 판단 사례

  8. No Image 08Jan
    by 송무팀
    2020/01/08 by 송무팀
    Views 267 

    농촌에 거주하는 미성년자의 일실수입을 도시일용노임으로 산정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9. No Image 24Oct
    by 송무팀
    2019/10/24 by 송무팀
    Views 268 

    고속도로상에 들어온 개를 피하려다 사고가 난 경우 도로공사의 책임을 인정한 사례

  10. No Image 13Feb
    by 송무팀
    2020/02/13 by 송무팀
    Views 268 

    피해자의 공동불법행위자 각자에 대한 과실비율이 다른 경우, 피해자 과실의 평가 방법

  11. No Image 28Oct
    by 송무팀
    2019/10/28 by 송무팀
    Views 269 

    증가될 수익을 기준으로 산정된 일실이익은 통상손해에 해당된다

  12. No Image 21Nov
    by 송무팀
    2019/11/21 by 송무팀
    Views 269 

    사고일로부터 향후 치료비가 필요한 날까지의 중간이자를 공제함이 옳다고 한 사례

  13. No Image 16Jan
    by 송무팀
    2020/01/16 by 송무팀
    Views 269 

    형사판결에서의 인정 사실을 그대로 인정한 원심판결을 심리미진 등을 이유로 파기한 사례

  14. No Image 02Jan
    by 송무팀
    2020/01/02 by 송무팀
    Views 272 

    정신적 능력 내지 지능이 결여된 경우 손해 및 가해자를 알았다고 할 수 있는지 여부

  15. No Image 11Mar
    by 송무팀
    2020/03/11 by 송무팀
    Views 273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특약'의 법적 성질(=인보험) 및 그 보험약관상 무면허운전 면책조항의 효력

  16. No Image 02Sep
    by 송무팀
    2019/09/02 by 송무팀
    Views 274 

    국가배상법시행령의 기준에 따라 노동능력상실율 산정한 조치가 정당하다고 본 사례

  17. No Image 29Oct
    by 송무팀
    2019/10/29 by 송무팀
    Views 276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있어 손해 및 가해자를 안다는 것의 의미

  18. No Image 13Jan
    by 송무팀
    2020/01/13 by 송무팀
    Views 278 

    기왕증이 있는 상태에서 사고로 장해가 남게 된 경우, 노동능력상실률 산정 방법

  19. No Image 24Apr
    by 송무팀
    2020/04/24 by 송무팀
    Views 278 

    고속도로 상 불법 정차와 후행 교통사고 사이의 상당인과관계를 인정한 사례

  20. No Image 16May
    by 송무팀
    2019/05/16 by 송무팀
    Views 280 

    사고차량에 대한 동승이 오직 동승자의 편의와 이익을 위해 제공된 경우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6 Next
/ 26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