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교통사고 판결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사고후닷컴
조회 수 2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해배상(자)

[대법원 2007. 1. 25., 선고, 2006다61055, 판결]

【판시사항】

[1] 지입차량의 소유권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자(=지입회사)
[2] 지입차량이 사고로 인하여 차량수리비 등의 손해를 입은 경우, 지입계약에 따라 자동차등록원부에 소유자로 등록된 지입회사가 손해배상청구권을 가진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민법 제103조[명의신탁]
[2]민법 제103조[명의신탁]
 

【참조판례】

[1]대법원 1989. 9. 12. 선고 88다카18641 판결(공1989, 1461)
 

【전문】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흥국쌍용화재해상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손영섭)

【원심판결】

울산지법 2006. 8. 10. 선고 2006나29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울산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본다.


화물자동차운송사업면허를 가진 운송사업자와 실질적으로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차주 간의 계약으로 외부적으로는 자동차를 운송사업자 명의로 등록하여 운송사업자에게 귀속시키고 내부적으로는 각 차주들이 독립된 관리 및 계산으로 영업을 하면서 운송사업자에게 지입료를 지불하는 운송사업형태(이른바 지입제)에 있어, 지입차량은 지입회사가 대외적으로는 소유자이므로 그 소유권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을 구하는 것은 대외적으로 소유권자인 지입회사의 권한에 속한다( 대법원 1989. 9. 12. 선고 88다카18641 판결 참조).


원심이 확정한 사실에 의하면, 원고가 2004. 10. 27. 소외인과 사이에 이 사건 피해차량에 관하여 원고는 형식적인 소유권을, 소외인은 실질적인 소유권을 갖기로 하는 내용의 지입계약을 체결하였다는 것이므로, 위와 같은 지입계약에 따라 자동차등록원부상의 소유자로 원고가 등록되었다면 이 사건 피해차량의 대외적인 소유권자는 지입회사인 원고이고, 따라서 이 사건 피해차량이 사고로 인하여 차량수리비 등의 손해를 입은 경우에는 원고가 그 소유권을 침해받은 것이므로 원고는 이 사건 피해차량의 소유권자로서 가해차량의 보험자인 피고를 상대로 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그런데도 원심은 원고와 소외인 사이의 내부적인 지입계약에서 차량수리비 등을 지입차주인 소외인이 부담하기로 하였다는 이유로 원고의 이 사건 손해배상청구를 배척하였으니, 이와 같은 원심판결에는 지입계약에 따른 대외적인 법률관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판결 결과에 영향을 미친 위법이 있고, 이 점을 지적하는 상고이유의 주장은 이유 있다.


그러므로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이홍훈(재판장) 김영란(주심) 김황식 안대희

  1. No Image 01Sep
    by 사고후닷컴
    2022/09/01 by 사고후닷컴
    Views 76 

    보험급여를 받은 피해자의 가해자에 대한 치료비 손해배상채권액 산정 방식

  2. No Image 28Sep
    by 사고후닷컴
    2022/09/28 by 사고후닷컴
    Views 102 

    교통사고 진료를 실시한 의료기관이 보험회사등을 상대로 직접 자동차보험진료수가의 지급을 청구한 사건

  3. No Image 16Nov
    by 사고후닷컴
    2022/11/16 by 사고후닷컴
    Views 105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과 그 시행령에서 정한 후유장애 급수를 판정하는 방법

  4. No Image 05Sep
    by 사고후닷컴
    2022/09/05 by 사고후닷컴
    Views 130 

    사고를 당하기 전에 기왕의 장해가 있었던 경우, 노동능력상실률을 산정하는 방법

  5. No Image 05Sep
    by 사고후닷컴
    2022/09/05 by 사고후닷컴
    Views 149 

    항소심 법원은 다시 주장하지 않더라도 제1심에서 한 당사자 주장이나 그 밖의 공격·방어방법에 관하여 판단하여야 하는지 여부

  6. No Image 11Nov
    by 사고후닷컴
    2022/11/11 by 사고후닷컴
    Views 150 

    운전상의 과실 유무와 상관없이 승객의 부상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을 지는지 여부

  7. No Image 05Oct
    by 사고후닷컴
    2022/10/05 by 사고후닷컴
    Views 157 

    의과대학 본과 3학년 재학 중 교통사고로 사망한 甲의 일실수입 산정 기준과 방법

  8. No Image 29Jan
    by 송무팀
    2020/01/29 by 송무팀
    Views 179 

    교사가 사고 이후 장애를 입고 계속 근무하면서 장래 수입상실 손해가 없다고 본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9. No Image 11May
    by 송무팀
    2020/05/11 by 송무팀
    Views 183 

    의료행위를 거부함으로써 손해가 확대된 경우 배상범위를 제한하여야 하는지 여부

  10. No Image 22Apr
    by 송무팀
    2020/04/22 by 송무팀
    Views 186 

    공무원연금법상 공제하여야 하는 유족연금액의 범위

  11. No Image 15May
    by 송무팀
    2020/05/15 by 송무팀
    Views 188 

    산재 면책조항의 적용요건에 해당된다는 증명책임의 소재(=공제조합 측)

  12. No Image 31Jan
    by 송무팀
    2020/01/31 by 송무팀
    Views 189 

    가족회사에서 직장동료로 근무하던 4촌형제 관계에 있는 운전자의 과실을 피해자측 과실로 인정하지 않은 사례

  13. No Image 30Jan
    by 송무팀
    2020/01/30 by 송무팀
    Views 195 

    생후 4년 3개월 남짓 된 유치원생에 대한 담임교사의 보호감독의무의 정도

  14. No Image 18May
    by 송무팀
    2020/05/18 by 송무팀
    Views 196 

    손해액 산정 시 피해자가 수령한 휴업급여금 등의 공제범위

  15. No Image 09Apr
    by 송무팀
    2020/04/09 by 송무팀
    Views 201 

    산재 보상범위를 넘어서는 손해에 대한 면책약관은 효력이 없다고 한 사례

  16. No Image 14May
    by 송무팀
    2020/05/14 by 송무팀
    Views 204 

    국민연금공단이 대위 취득하는 수급권자의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 범위

  17. No Image 08Apr
    by 송무팀
    2020/04/08 by 송무팀
    Views 207 

    상속을 포기한 경우 보험자에 대한 직접청구권이 소멸하는지 여부

  18. No Image 21Apr
    by 송무팀
    2020/04/21 by 송무팀
    Views 207 

    렌트카 회사의 무면허운전 면책주장을 배척한 사례

  19. No Image 20Apr
    by 송무팀
    2020/04/20 by 송무팀
    Views 212 

    정부보장사업으로 보상금을 지급한 경우 피해자의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 행사할 수 있는지 여부

  20. No Image 16Apr
    by 송무팀
    2020/04/16 by 송무팀
    Views 214 

    지입차량의 소유권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자(=지입회사)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 Next
/ 26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