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교통사고 판결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사고후닷컴
조회 수 29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손해배상(자)

[대법원 2008. 5. 29., 선고, 2008다17359, 판결]

【판시사항】

[1]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3조에서 규정하는 ‘운행으로 인하여’의 판단 기준

[2] 고속도로 상에서 선행 교통사고가 발생한 후 운전자가 피보험차를 사고지점인 1차로에 그대로 둔 상태에서 동승자가 운전자의 부탁으로 후행차량들에 대한 수신호를 하던 중 후행차량에 충격당한 사고가 발생한 사안에서, 피보험차의 운전자의 불법 정차와 후행 교통사고 사이의 상당인과관계를 인정한 사례

【참조조문】

[1]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3조
[2]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3조,
구 도로교통법(2005. 5. 31. 법률 제7545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59조 제1호(현행
제64조 제2호 참조), 제2호(현행 제64조 제3호 참조), 제61조(현행 제66조 참조),
구 도로교통법 시행규칙(2006. 5. 30. 행정자치부령 제329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23조(현행
제40조 참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7. 9. 30. 선고 97다24276 판결(공1997하, 3281),
대법원 2006. 4. 13. 선고 2005다73280 판결(공2006상, 794)
 

 

【전문】

【원고, 상고인】

 

【피고, 피상고인】

엘아이지손해보험 주식회사 (소송대리인 변호사 장한각외 1인)

【원심판결】

서울고법 2008. 1. 25. 선고 2007나57031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이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원심은 그 채용 증거에 의하여, 소외 1은 2002. 12. 23. 21:40경 그 아버지인 소외 2 소유의 쏘나타II 승용차(이하 ‘피보험차’라고 한다)를 운전하여 강원 평창군 진부읍 호영리 소재 영동고속도로 인천기점 209km 지점을 1차로로 강릉 방면에서 서울 방면으로 운행하던 중, 앞서 가던 소외 3 운전의 EF쏘나타 승용차가 눈길에 미끄러지면서 피보험차 쪽으로 다가오자 이를 피하기 위하여 급제동하다가 역시 미끄러지면서 중앙분리대를 들이받고 1차로에 그대로 정차하게 된 사실(이하 ‘선행사고’라고 한다), 소외 1은 피보험차를 사고지점에 그대로 둔 채 동승자인 원고 1에게 1차로에 서서 후행차량에게 수신호를 해 줄 것을 요구하고서 자신은 피보험차의 상태를 확인한 후 소외 3에게 항의하러 가는 순간, 때마침 1차로에서 뒤따라오던 소외 4 운전의 체어맨 승용차가 피보험차가 정차되어 있는 것을 뒤늦게 발견하고 이를 피하기 위하여 2차로로 차선을 변경하면서 제동장치를 조작하다가 눈길에 미끄러져 그 우측 앞 범퍼 부분으로 2차로를 서행하고 있던 소외 5 운전의 렉스턴 승합차의 좌측 뒷 모서리 부분을 충격하고 계속하여 피보험차의 오른쪽 뒷 휀다 부분을 충격하면서 피보험차의 오른쪽 앞부분 도로에 서 있던 소외 1과 원고 1을 들이받아 원고 1로 하여금 중증뇌좌상 등의 상해를 입게 한 사실(이하 ‘이 사건 사고’라고 한다)을 인정한 다음, 이 사건 사고는 선행사고 발생 후 일단 피보험차에서 내린 원고 1이 운전자인 소외 1의 부탁으로 후행차량들에 대한 수신호를 하던 중 소외 4가 운전하던 차량에 충격당하여 발생한 것이어서 피보험차의 운행으로 인하여 발생한 사고라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그러나 원심의 위와 같은 판단은 이를 그대로 수긍하기 어렵다.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3조는 “자기를 위하여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는 그 운행으로 인하여 다른 사람을 사망하게 하거나 부상하게 한 때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을 진다.”라고 규정하고 있는바, 위 법조에서 ‘운행으로 인하여’라 함은 운행과 사고 사이에 상당인과관계를 인정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 대법원 1997. 9. 30. 선고 97다24276 판결대법원 2006. 4. 13. 선고 2005다73280 판결 등 참조).


한편, 구 도로교통법(2005. 5. 31. 법률 제7545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59조에 의하면 자동차는 고속도로 또는 자동차전용도로에서 정차 또는 주차할 수 있도록 경계를 나타낸 곳이나 정류장에서 정차 또는 주차하는 경우( 제1호), 고장이나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길 가장자리(갓길을 포함한다)에 정차 또는 주차하는 경우( 제2호) 등 특별한 사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차 또는 주차하여서는 아니 되고, 구 도로교통법 제61조구 도로교통법 시행규칙(2006. 5. 30. 행정자치부령 제329호로 전부 개정되기 전의 것, 이하 같다) 제23조에 의하면 자동차의 운전자는 고장이나 그 밖의 사유로 고속도로나 자동차전용도로에서 그 자동차를 운행할 수 없게 된 때에는 도로교통법 시행규칙에 규정된 ‘고장 등 경우의 표지’를 그 자동차로부터 100m 이상의 뒤쪽 도로상에 하여야 하고, 특히 야간에는 위 표지와 함께 사방 500m 지점에서 식별할 수 있는 적색의 섬광신호·전기제등 또는 불꽃신호를 그 자동차로부터 200m 이상의 뒤쪽 도로상에 추가로 설치하여야 하며, 그 자동차를 고속도로 또는 자동차전용도로 외의 곳으로 이동하는 등의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원심이 인정한 사실을 위 법리에 비추어 살펴보면, 소외 1은 영동고속도로를 강릉 방면에서 서울 방면으로 운행하다 이 사건 사고지점에 이르러 앞서 2차로를 주행하던 소외 3 운전의 EF소나타 승용차가 눈길에 미끄러져 자신의 주행차로인 1차로로 다가오는 것을 보고 이를 피하기 위하여 급제동을 하다가 역시 눈길에 미끄러져 중앙분리대를 들이받고 1차로에 정차하게 되었다 하더라도, 구 도로교통법 제59조제61조의 규정에 의하여 고속도로에는 자동차를 정차할 수 없으므로 다른 차량의 진행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즉시 피보험차를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켰어야 함에도 그대로 방치하여 두었을 뿐만 아니라, 단순히 원고 1로 하여금 후행차량에 대하여 수신호를 하도록 요구만 한 채 구 도로교통법 제61조 및 구 도로교통법 시행규칙 제23조에 규정한 ‘고장 등 경우의 표지’를 해태하였으므로, 소외 1의 이러한 형태의 정차는 불법 정차에 해당한다 할 것이고, 따라서 소외 1로서는 영동고속도로를 운행하는 후행차량들이 1차로에 정차한 피보험차를 충돌하고, 나아가 그 주변의 다른 차량이나 사람들을 충돌할 수도 있다는 것을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다고 할 것이므로, 결국 소외 1의 불법 정차와 이 사건 사고 사이에는 상당인과관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런데도, 원심이 이 사건 사고가 피보험차의 운행으로 인하여 발생한 사고라고 보기 어렵다고 판단한 것은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3조 소정의 ‘운행으로 인하여’의 해석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을 범하였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게 하기 위하여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관여 대법관의 의견이 일치되어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김지형(재판장) 고현철 전수안 차한성(주심)
 
 

  1. No Image 21Jan
    by 송무팀
    2020/01/21 by 송무팀
    Views 275 

    피해자가 독립적인 2개의 영업을 겸업한 경우, 일실수익 산정 방법

  2. No Image 10Mar
    by 송무팀
    2020/03/10 by 송무팀
    Views 275 

    자동차대여사업자가 무면허자에게 대여한 행위와 교통사고 사이에 상당 인과관계가 있는지 여부

  3. No Image 23Jan
    by 송무팀
    2020/01/23 by 송무팀
    Views 277 

    공무원의 직무상 불법행위에 대하여 공무원 개인이 손해배상책임을 지는지 여부

  4. No Image 13Feb
    by 송무팀
    2020/02/13 by 송무팀
    Views 278 

    피해자의 공동불법행위자 각자에 대한 과실비율이 다른 경우, 피해자 과실의 평가 방법

  5. No Image 25Oct
    by 송무팀
    2019/10/25 by 송무팀
    Views 281 

    무단운전으로 배상책임을 물을 수 없다고 한 사례

  6. No Image 21Nov
    by 송무팀
    2019/11/21 by 송무팀
    Views 281 

    사고일로부터 향후 치료비가 필요한 날까지의 중간이자를 공제함이 옳다고 한 사례

  7. No Image 28Oct
    by 송무팀
    2019/10/28 by 송무팀
    Views 282 

    증가될 수익을 기준으로 산정된 일실이익은 통상손해에 해당된다

  8. No Image 16Dec
    by 송무팀
    2019/12/16 by 송무팀
    Views 282 

    정기적 발생한 기왕 치료비는 그 일시금 산정에 있어 중간이자를 공제함이 상당하다

  9. No Image 17Mar
    by 송무팀
    2020/03/17 by 송무팀
    Views 282 

    '운행'과 도로교통법 제2조 제19호 소정의 '운전'이 동일한 개념인지 여부

  10. No Image 01Apr
    by 송무팀
    2020/04/01 by 송무팀
    Views 282 

    신호등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에 있어 영조물 하자에 대한 판단 사례

  11. No Image 16May
    by 송무팀
    2019/05/16 by 송무팀
    Views 284 

    사고차량에 대한 동승이 오직 동승자의 편의와 이익을 위해 제공된 경우

  12. No Image 29Nov
    by 송무팀
    2019/11/29 by 송무팀
    Views 284 

    사고차량에 동승한 자동차보유자의 손해액 산정에 있어 그 운전자의 과실참작 여부

  13. No Image 08Jan
    by 송무팀
    2020/01/08 by 송무팀
    Views 284 

    농촌에 거주하는 미성년자의 일실수입을 도시일용노임으로 산정한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14. No Image 16Jan
    by 송무팀
    2020/01/16 by 송무팀
    Views 285 

    형사판결에서의 인정 사실을 그대로 인정한 원심판결을 심리미진 등을 이유로 파기한 사례

  15. No Image 02Sep
    by 송무팀
    2019/09/02 by 송무팀
    Views 286 

    국가배상법시행령의 기준에 따라 노동능력상실율 산정한 조치가 정당하다고 본 사례

  16. No Image 24Oct
    by 송무팀
    2019/10/24 by 송무팀
    Views 288 

    고속도로상에 들어온 개를 피하려다 사고가 난 경우 도로공사의 책임을 인정한 사례

  17. No Image 11Mar
    by 송무팀
    2020/03/11 by 송무팀
    Views 290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특약'의 법적 성질(=인보험) 및 그 보험약관상 무면허운전 면책조항의 효력

  18. No Image 29Oct
    by 송무팀
    2019/10/29 by 송무팀
    Views 291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있어 손해 및 가해자를 안다는 것의 의미

  19. No Image 04Dec
    by 송무팀
    2019/12/04 by 송무팀
    Views 292 

    피해자에게 인정되는 직접청구권의 법적 성질

  20. No Image 13Jan
    by 송무팀
    2020/01/13 by 송무팀
    Views 292 

    기왕증이 있는 상태에서 사고로 장해가 남게 된 경우, 노동능력상실률 산정 방법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26 Next
/ 26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