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법률뉴스

교통사고 보험분쟁

사고후닷컴은 정직과 성실함으로 고객과의 약속을 지켜왔습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서울지방법원 2000나36858

 

서울지법, 국가가 개통사실을 적극 홍보하고 경고판 세워야

새로 만든 도로의 개통 사실을 모르고 횡단하던 주민이 교통사고를 당했다면 개통에 대한 홍보를 제대로 하지 않은 국가도 책임이 있다는 판결이 나왔다.

서울지법 민사항소9부(재판장 尹榮宣 부장판사)는 8일 교통사고로 사망한 김모군의 유족들이 국가를 상대로 "도로의 개통을 알리지 않아 평소처럼 무단횡단을 하는 도중 사고가 났다"며 낸 손해배상 청구소송(2000나36858)에서 "국가는 1천6백여만원을 배상하라"며 원고일부승소판결을 내렸다.

재판부는 판결문에서 "토지보상 문제로 인해 개통이 미뤄져 주민들과 학생들이 농토나 학교로 가기 위해 국도를 횡단해 온 사실이 인정된다"며 "국가는 개통에 앞서 현수막을 설치하거나 학교에 그 사실을 알리는 등의 방법으로 도로의 개통사실을 적극 홍보하고 경고판을 세워 무단횡단을 방지할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또 "주민들의 통행을 위해 도로 아래 지하통로를 설치하게 됐으면 배수시설과 조명시설을 갖춰 불편이 없도록 했어야 하는데도 방치해둬, 주민들이 지하통로를 이용하지 않고 무단횡단 하도록 한 만큼 국가는 도로의 설치, 관리상 하자에 대해 책임이 있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하지만 "사망한 김군도 불편하지만 지하통로를 이용할 수도 있었는데 가드레일까지 설치된 도로를 무단횡단한 책임이 있다"며 국가의 책임을 40%로 제한했다.

유족들은 97년11월 김군이 도로의 개통 사실을 모르고 빗물이 고여있어 불편한 지하통로를 이용하지 않고 도로를 횡단해 학교에 가는 도중 차에 치여 뇌출혈로 사망하자 "국가는 도로개통에 대한 홍보를 하지 않은 책임이 있는 만큼 6천8백여만원을 배상하라"며 소송을 냈었다.

원글보기


  1. 단기간에 여러 보험 가입… 보험료도 수입 대비 과도했다면

  2. '3개월 금주' 지킨 음주뺑소니 30대 감형… '치유법원' 첫 발

  3. 기차 화장실서 승객 낙상 사고… 책임은?

  4. 회식 다음날 출근길에 숙취운전 사고… "업무상 재해"

  5. "출장 도중 중앙선 침범 사고로 사망했더라도 업무상 재해 해당"

  6. 야간 자전거 타다 방공호 추락… “국가 60%책임”

  7. 교차로 비보호좌회전 차량 사고… 운전자에 100%책임

  8. 자차 가입 않은 채 빌린 렌트카 무리한 운전으로 침수땐

  9. '가입 2년 후 자살' 재해사망 보험금 지급해야…대법원 기존 판례 재확인

  10. "학교안전사고, 학생 직접 사인(死因) 아니어도 유족급여 지급해야"

  11. 자전거 타고 가다 교통사고…배상책임 어디까지

  12. 남편 동의 없이 가입한 생명보험 계약이 무효 된 경우

  13. 유서 조목조목 적었다면 '우울증 자살'로 못 봐

  14. 교통사고 가해자, 업무상과실치상죄 무죄판결 받아도

  15. 보험가입자 차량이 고치려고 보관 중이던 차량 파손시

  16. 수입에 비해 고액 보험료 부담 등 ‘간접사실’ 인정되면

  17. 응급상황 아닌데도 신호 위반해 운전하다 사고 낸 구급차

  18. 사고 원인은 음주 아닌 타이어 파손→ 중앙선 침범, 음주운전자 건강보험급여 받을 수 있다

  19. 교통-일반재해 구분않고 모든 상해 동일하게 보장하는 보험이면 일반상해를 교통사고로 보험금청구 위법안돼

  20. 신호등 없는 횡단보도 자동차가 먼저 진입했어도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37 Next
/ 37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