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법률뉴스

교통사고 보험분쟁

사고후닷컴은 정직과 성실함으로 고객과의 약속을 지켜왔습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서울중앙지방법원 2018나28548

#고령자 #손해배상청구소송 #스노클링

고령의 관광객에게 스노클링은 사망 등의 위험성이 있다는 사실을 자세히 알리지 않은 여행사에 20%의 책임이 있다는 판결이 나왔다.

 

한모(사망 당시 72세)씨는 자녀와 함께 2016년 11월 필리핀 세부로 3박 5일간 쇼핑과 스노클링 등 해양스포츠를 체험하는 여행을 떠났다. 첫날 여행사로부터 '스노클링 전 반드시 준비운동을 하고 자신이 없으면 물에 들어가지 않는 것이 좋다'는 등의 내용이 담긴 '필리핀 여행안내 및 안전사고 예방에 관한 확인서'를 받아 서명했다. 이튿날 체험 다이빙 때 한씨는 건강 내역란에 '천식, 감기'를 기재한 면책동의서를 제출하고 다이빙에 참여했고 이후 별다른 이상은 없었다. 다음날 한씨는 안전수칙 설명을 들은 다음 스트레칭과 마사지를 한 후 보조요원과 스노클링 체험을 했다. 그런데 체험 도중 힘든 기색을 보여 휴식을 취했으나 구토를 해 멀미약을 복용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몸 상태가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자 가이드가 한씨에게 마사지 등을 했지만 상태는 호전되지 않았고, 현지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지만 심근경색과 폐렴을 동반한 2차 패혈성 쇼크로 사망했다. 이에 한씨의 유족들은 소송을 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11부(재판장 박미리 부장판사)는 한씨 유족이 모두투어를 상대로 낸 손해배상청구소송(2018나28548)에서 양측의 항소를 모두 기각하고 1심과 같이 "모두투어는 1696만원을 지급하라"며 최근 원고일부승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모두투어는 고령인 한씨에게 스노클링의 위험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지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한씨를 병원으로 이송하는 조치도 신속하게 하지 못했다"며 "모두투어의 안전배려의무 위반과 한씨의 사망 사이의 상당인과관계가 인정된다"고 밝혔다.

 

위험성 자세히 알릴 의무

 

이어 "모두투어는 장례비가 과다 산정됐고 한씨 사망 후 유족들이 필리핀으로 가기 위해 지출한 항공료는 특별손해에 해당하므로 손해배상의 범위에서 제외돼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한국에서의 장례비용이 300만원임은 당사자 사이에 다툼이 없고 필리핀 현지 장례비용 400여만원도 모두투어가 유족들을 대신해 결제한 점 등에 비춰볼 때 과도하다고 볼 수 없다"면서 "한씨가 필리핀에서 사망해 유족들이 현지로 이동해 시신 확인 등 후속절차를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었으므로 관련 항공료는 통상손해에 해당하고, 설령 특별손해라 하더라도 이는 모두투어가 예견할 수 있었던 손해"라고 설명했다.

 

앞서 1심도 "한씨가 감기와 천식 증상이 있는 것을 알고 있었고 고령인 점, 필리핀 주재 한국대사관이 스노클링으로 인한 사망사고의 잦은 발생에 대한 위험성을 공지한 점으로 보아 여행사가 일반적인 안전수칙 설명이나 스트레칭 정도의 조치를 한 것만으로는 신의칙상 안전배려의무를 다했다고 볼 수 없다"며 모두투어의 책임을 인정하면서, 다만 "한씨도 그해 6월 받았던 건강검진 결과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었고 고령에 감기와 천식 증상이 있는 상태에서 무리하게 체험에 참여했다"며 모두투어 측의 책임을 20%로 제한했다.

 

원글보기


  1. 결빙으로 사고 잦은 구간 별도 방호조치 않았다면 트럭 굴러 운전자 사망… 도로 관리자에 책임

    Date2021.11.11 By관리자 Views13
    Read More
  2. 경계성 종양은 암에 비해 진단비 적게 지급, 약관 설명 안했다면 설명의무 위반…보험사는 암진단금 지급해야

    Date2021.11.11 By관리자 Views15
    Read More
  3. 경미한 교통사고 처리 가족에게 맡겼다면 뺑소니 아냐

    Date2021.11.19 By관리자 Views16
    Read More
  4. 경미한 접촉사고도 피해유무 확인 안했다면 사고 후 미조치에 해당된다

    Date2021.11.11 By관리자 Views12
    Read More
  5. 경미한 접촉사고에 뒷목 잡았다가

    Date2021.12.10 By관리자 Views18
    Read More
  6. 경미한 접촉사고후 합의시도 했어도 연락처 안주면 뺑소니

    Date2021.11.09 By관리자 Views15
    Read More
  7. 경미한 차량 접촉사고 후 운전자 도주했어도

    Date2021.12.10 By관리자 Views18
    Read More
  8. 경사길에서 시동 꺼진 상태로 뒤로 밀려 추돌사고 났다면

    Date2022.05.03 By관리자 Views24
    Read More
  9. 경적 울려 사고 유발한 운전자도 20% 과실

    Date2022.02.16 By관리자 Views31
    Read More
  10. 경찰의 교통사고 초동수사 조작에 국가배상 인정

    Date2021.11.08 By관리자 Views14
    Read More
  11. 고령자 여행 중 스노클링하다 사망… 항소심도 “여행사에 20% 책임”

    Date2021.12.20 By관리자 Views21
    Read More
  12. 고속도로 BMW 운전자 부부 사망 사고… 항소심서 "차량결함 급발진" 첫 인정

    Date2022.05.03 By관리자 Views21
    Read More
  13. 고속도로 고인 빗물에 사고, 도로공사 손해배상 책임있다

    Date2021.11.09 By관리자 Views15
    Read More
  14. 고속도로 공사 미완상태서 차선통제 해제 사고시 도로공사도 책임

    Date2021.11.05 By관리자 Views26
    Read More
  15. 고속도로 무단횡단 중 차에 치여 사망했다면 운전자에 과실있다고 볼 수 없어

    Date2021.11.10 By관리자 Views12
    Read More
  16. 고속도로 무단횡단자 치여 숨지게 했더라도 형사처벌 못해

    Date2021.11.03 By관리자 Views12
    Read More
  17. 고속도로 백색실선서 차선변경하다 사고 교통특례법상 10대 중과실에 해당

    Date2021.11.05 By관리자 Views20
    Read More
  18. 고속도로서 야생노루 피하려다 사고… 도로공사 책임없다

    Date2021.11.09 By관리자 Views21
    Read More
  19. 고속도로에서의 빗물 미끄럼 교통사고에 대해 도로공사의 관리책임 인정

    Date2021.10.26 By관리자 Views40
    Read More
  20. 고속도로에서의 빗물 미끄럼 교통사고에 대해 도로공사의 관리책임 인정

    Date2021.11.04 By관리자 Views23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4 5 6 7 8 9 10 11 12 13 ... 37 Next
/ 37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