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법률뉴스

교통사고 보험분쟁

사고후닷컴은 정직과 성실함으로 고객과의 약속을 지켜왔습니다.

조회 수 4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서울중앙지방법원 2018가단5231225

#낙상 #병원 #중환자실

낙상 고위험군 환자가 중환자실 침대에서 떨어져 다친 경우 병원 측에 60%의 과실을 인정한 판결이 나왔다.

 

서울중앙지법 민사49단독 황병헌 부장판사는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삼성의료재단을 상대로 제기한 구상금 청구소송(2018가단5231225)에서 "삼성의료재단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약 1억원을 지급하라"며 원고일부승소 판결했다.

2017년 12월 급성담낭염으로 강북삼성병원에서 수술을 받고 중환자실로 옮겨진 A씨(당시 62세)는 며칠 뒤 새벽 4시경 중환자실 침대에서 떨어져 뇌손상을 입는 사고를 당했다.

 

사고 전 병원은 낙상위험도 평가도구 매뉴얼에 따라 A씨를 낙상 고위험군 환자로 보고 낙상사고 위험요인 표식을 부착한 뒤 침대 높이를 낯추고 난간 안전벨트를 사용했으며, A씨에게도 주의사항을 여러차례 알려줬다. 사고 당일 간호사는 3시 25분경 A씨가 뒤척임 없이 안정적인 자세로 수면중인 것을 확인했고 45분경에는 PTGBD(경피경간담낭배액술, 경피경간적으로 담낭에 드레인을 삽입하여 담즙을 배출하는 치료법) 배액 중이었는데 10여분 뒤 쿵 소리가 났다. A씨의 엉덩이가 침상난간 안전벨트와 난간을 넘어와 바닥에 닿아있었고 동시에 뒤로 넘어져 머리를 찧은 것이다. 당시 중환자실은 간호사 1명이 환자 3명을 담당하고 있었다.

 

결국 사고로 인한 치료비 중 공단부담금으로 1억6000여만원을 지급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삼성의료재단의 관리소홀에 따른 사고"라며 소송을 냈다. 이에 삼성의료재단은 "A씨를 낙상 고위험군 환자로 분류하고 낙상 방지를 위해 노력을 기울인 만큼 병원 측에 과실이 없다"고 맞섰다.

 

황 부장판사는 "모든 증거를 봐도 A씨가 어떻게 침대에서 떨어져 사고가 났는지 명확하게 알 수 없지만 당시 A씨가 수면 중이었던 것으로 보이고 그가 침대에서 몸을 일으키는 등 위험한 행동을 한 것으로 볼 자료가 없다"며 "사고 장소가 중환자실이었고, A씨는 낙상 고위험군 환자로 분류될 정도로 낙상 위험이 큰 환자였기에 병원 측에 보다 높은 주의가 요구되었던 점 등을 종합할 때 병원이 사고 방지에 필요한 주의의무를 다하지 않은 과실이 인정된다"고 판시했다.

 

다만 황 부장판사는 "사고의 구체적인 경위가 불명확하고 병원도 사고 방지를 위해 상당한 조치를 취했으며, A씨의 혈액응고도가 낮아 사고로 인한 피해의 정도가 더 커진 점 등을 참작해 병원측 책임을 60%로 제한한다"고 설명했다.

원글보기


  1. 킥보드 타던 아이 행인에 상해 부모가 손해 85% 배상

  2. 교통사고 낸 직후 현장 떠났다가 10분 만에 복귀

  3. 교통사고 유아 5년 후 언어장애… 보험사 배상해야

  4. 승마장서 탈출한 말에 도로 혼잡… 반대차선서 추돌사고 발생해도

  5. 사고 경미하고 피해자 추격 없어도 사고 후 도주는 모두 뺑소니

  6. 추돌사고로 보행자도 다쳤다면 선·후행차 모두 책임 있다

  7. 앞 자전거 추월하다 사고, 진로 방해 등 고려 책임은 ‘반반’

  8. 밭농사 하면서 ‘전업주부’로 기재하면 보험금 못 받는다

  9. 요양병원 환자 낙상사고 간병인에게 책임 물을 수 없다

  10. 대법원 "오토바이 배달 아르바이트생 노동가동연한도 65세로 상향"

  11. 중환자 침대서 떨어져 뇌손상…병원에 1억 배상 판결

  12. “보험사기 기수 시기는 보험금 지급 받았을 때”

  13. 강아지에 놀라 급제동 사고, 버스측에 90% 배상책임

  14. 대법원 "교통사고 장애 산정과 노동상실률 판단 기준 같아야"

  15. 안전시설 없는 지자체 소유 도로서 사고… 지자체도 배상책임

  16. 장해급여 청구 소멸시효는 근로자 급여 청구 때 ‘중단’

  17. “잘 있어라 나 간다” 여학생에게 문자 남긴 뒤

  18. 보험계약체결 당시 정확한 병명은 알지 못했더라도…

  19. 대법원 "해외여행 중 여행사 과실로 부상…국내 후송비도 책임"

  20. "환자 사망사고서 의료진 책임 일부 인정됐다면 치료비 청구 못해"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37 Next
/ 37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