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승소사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다양한 실무경험과 실력을 갖춘 전문가로 구성된 사고후닷컴입니다.

사고후닷컴
조회 수 34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1. 기초 사실

 

 

원고는 피고에게 고용되어 근무하던 중 사업장 내에서 절단된 철강빔을 화물차량에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싣던 중 철강빔의 한쪽에만 호이스트를 걸어 운반하려다 위 철강빔이 균형을 잃고 떨어지는 바람에 우측 종아리 및 허벅지 열상 등의 상해를 입게 되어 추상장해에 더하여 28.27%의 노동능력이 영구적으로 상실되게 되었습니다.

 

 

이에 원고를 고용한 사업주에게 작업 관리 감독의 의무를 게을리한 과실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사건입니다.

 

 

1-1.jpg

 

1-2.jpg

 

 

2. 피고 측 주장

 

사각빔 적재 시 한쪽에만 호이스트를 걸이 사각빔이 균형을 잃어 떨어졌기 때문에 원고의 부주의에 의한 사고로 피고에게는 책임을 물을 수 없다고 주장하였습니다.

 

1.jpg

 

 

1.jpg

 

 

3. 사고후닷컴 변론

 

 

철골빔을 안전하게 적재하기 위해서는 원고 이외에도 다른 직원(최소 1~2명)이 더 필요할 수밖에 없는 작업인데도 불구하고 작업의 관리 감독은커녕 원고 혼자서 작업을 하도록 한 바, 원고가 한 손으로는 호이스트를 조작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호이스트의 줄에 매달린 철골빔이 흔들리지 않도록 유지해가며 5톤 트럭에 실어야 했기에 철골빔의 균형을 제대로 잡을 수 없으면서 사고가 발생할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원고의 과실을 인정하더라도 10%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습니다.

 

 

또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의 기술 자료 ‘호이스트 안전 수칙’ 규정을 제시하여 반드시 2인 1조가 되어서 하는 작업임을 명백히 밝혔습니다.

 

3.jpg

 

4. 판 결

 

재판부에서는 철강빔을 상차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인력을 지원하지 않고, 관리 감독을 하지 아니한 과실로 원고의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고 피고의 책임을 70%로 판결 선고한 사례입니다.

 

4.jpg

 

5.jpg

 

 


  1. 학교안전공제회에 대한 전부 승소 사례

  2. 학교안전공제회 전부 승소 사례(전방십자인대 파열)

  3. 의료사고 채무부존재확인소송에 대한 승소 사례

  4. 산업재해 장해등급 재판정 결정처분을 취소한 승소 사례

  5. 음주 차량사고 항소심(개호 10시간 인정)

  6. 택시 오토바이 교차로 사고로 상완골 골절 손해배상청구 사례

  7. 소송전 제시된 합의금보다 열배로 증액되어 종결된 사례

  8. 제시된 합의금의 두 배로 판결선고된 사망사고 사례(4억 5,700)

  9. 외국인 근로자 손가락 절단 사고에 대한 산재 초과 손해배상 청구 사례

  10. 제조물인 차량 결함에 따른 손해배상 청구사례(2억5,500)

  11. 절단 장해를 초과한 상실률을 인정한 사례(2억 7,800)

  12. 야간 고속도로상 전복된 차량의 후미를 추돌한 과실을 40%로 인정한 사례

  13. 자전거 도로상 개를 피하려다 전도된 사고(3억 3,000)

  14. [음주운전]★집행유예 / 3진 아웃 / 혈중알콜농도 0.170% / 피해자 3명과 합의 안 된 상태로 판결 선고 받은 사례

  15. 산재 초과 손해배상 청구사건 승소 사례

  16. 어린이 보호구역 피해자 무단횡단, 가해자 제한속도 초과 사고

  17. 추상장해 인정 사례

  18. 학교안전공제회 전부 승소 사례(십자인대 파열)

  19. 두부 손상 없는 뇌전증에 대하여 교통사고 인과관계 100% 인정받은 사례

  20. 자폐성 장해 보험금 청구 승소사례(2억9,80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