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법률뉴스

교통사고 보험분쟁

사고후닷컴은 정직과 성실함으로 고객과의 약속을 지켜왔습니다.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도로 설치·보존상의 하자가 손해 확대의 원인”

방호 울타리가 없는 급경사 도로에서 차량이 미끄러져 하천에 추락했다면 운전자가 음주운전 상태였다 하더라도 도로 관리자인 한국도로공사에 20%의 책임이 있다는 판결이 나왔다.

 

서울중앙지법 민사90단독 이영훈 부장판사는 메리츠화재해상보험이 한국도로공사를 상대로 낸 구상금소송(2018가단5089189)에서 "도로공사는 6500여만원을 지급하라"며 최근 원고일부승소 판결했다.

메리츠화재해상 자동차종합보험에 가입한 A씨는 2014년 12월 새벽 1시께 혈중알코올농도 0.094%의 만취상태로 운전해 경기도 화성시 봉담-동탄 간 고속도로 옆에 있는 부체도로인 농로를 지나다 차량이 미끄러지면서 5m 아래 하천으로 추락해 차량이 전복됐다. 이 사고로 A씨는 크게 다치고 동승자는 사망했다.

 

당시 도로는 내리막길이었는데 비가 내리고 있었고 추운 날씨에 결빙까지 돼 매우 미끄러운 상태였다. 또 도로는 하천에서부터 5m 높이에 있었고 비탈면 경사가 가팔랐지만, 차량이 하천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만한 방호 울타리나 가로등, 위험 표시판 등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이 도로엔 A씨의 사고가 난 지 1년여 뒤에야 방호 울타리가 설치됐다.

 

서울중앙지법,

원고일부승소 판결

 

도로공사는 경기고속도로㈜와 체결한 '서수원-오산-평택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관리운영 위·수탁계약'에 따라 2009년 10월부터 봉담-동탄 고속도로와 사고가 난 도로를 점유·관리하고 있었다. 이에 메리츠화재는 "공사가 점유·관리하는 도로의 설치·보존상의 하자가 손해 발생의 한 원인이 되었으니 우리가 지급한 보험금 중 30%를 부담해야 한다"며 소송을 냈다.

 

이 부장판사는 "국토교통부가 제정한 '도로안전시설의 설치 및 관리지침' 기준에 의할 때 해당 도로는 하천에서부터 높이가 5m에 이르고 비탈면 경사가 급해 차량의 이탈 방지를 위해 방호 울타리를 설치해야 하는 도로 구간이지만, 당시 도로에 가로등 등 별다른 위험 방지 시설이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사고 때처럼 비가 내리거나 결빙으로 노면이 미끄러우면 추락 사고의 위험이 커질 수밖에 없고, 사고 후 해당 도로를 포함한 일대 부체도로 구간에 방호 울타리가 설치된 점 등에 비춰보면 공사가 점유하는 도로에 설치·보존상 하자가 있고 그것이 손해 확대의 원인이 됐다고 봄이 상당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야간에 기상 상황이 좋지 않고 결빙까지 된 위험한 상태에서 음주운전을 한 것이 사고 발생의 큰 원인이었으며, 그 도로에서 유사사고가 있었다는 자료가 없는 점, 동승자가 안전띠를 착용하고 있지 않았던 점 등을 종합해 공사의 책임을 20%로 제한한다"고 판시했다.

 

원글보기


  1. 도로에 설치된 보조표지 일부에 흠이 있더라도

  2. 교통사고 가해자가 인적사항 안 남기고 현장 떠나도

  3. "보험사, '맘모톰 시술 진료비 반환' 의사에게 직접 청구할 수 없다"

  4. '17개월간 11차례 교통사고' 보험금 4700만원… "보험사기로 보기 어려워"

  5. 안전시설 없는 지자체 소유 도로서 사고… 지자체도 배상책임

  6. 사고 후 전화번호만 남기고 사라지면 뺑소니

  7. 교통사고 후 스트레스 장애 등 치료받다 자살했다면…

  8. 부모가 가입한 생명보험에 상해보험적 성격 있다면

  9. 엘리베이터에 갇히는 사고로 생긴 공황장애로 극단적 선택 했다면

  10. 방호 울타리 없는 급경사 도로서 차량 추락… 운전자, 음주상태라도 도로공사 책임 20%

  11. "징역 1년" 주문 낭독에 피고인 난동 부리자 "징역 3년" 선고는 위법

  12. 렌터카 계약자 외 운전자가 낸 사고 '법적 책임은?'

  13. 개인택시 市조합 상조회, 구상권 행사못해

  14. 학교안전공제회가 학교배상 책임공제 따라 피해자에 공제금 지급한 경우

  15. 주차된 차량 이동 못하게 했다면 “재물 손괴죄”

  16. 싸움하다 타인의 폭행으로 다친 경우 보험급여 제한사유 해당 안돼

  17. 교통사고 차량 교환가치 하락, 보험사 대물배상 기준 넘어도 배상해야

  18. 비 오는 날 지하 노래방 계단 내려가다 미끄러져 발목 부상 당했다면

  19. "남의 집에 주차하고 "차빼달라' 요구 불응… 건조물 침입죄"

  20. 요양병원 환자 낙상사고 간병인에게 책임 물을 수 없다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37 Next
/ 37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