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교통사고 판결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대법원 최신 판례입니다.

사고후닷컴
조회 수 1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구상금

[대법원 2021. 11. 11., 선고, 2021다257705, 판결]
 

【판시사항】

[1] 자동차 사고로 승객이 부상한 경우,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3조에 따라 운행자는 승객의 부상이 고의 또는 자살행위로 인한 것임을 주장·증명하지 못하는 한 운전상의 과실 유무와 상관없이 승객의 부상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을 지는지 여부(적극)
[2] 甲 주식회사가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승객을 승하차시키기 위해 정류장에 정차하는 과정에서 승객 乙이 일어나 가방을 메다가 정차 반동으로 넘어져 부상을 입자,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치료비 일부를 부담한 다음 甲 회사 등을 상대로 구상권을 행사한 사안에서, 위 사고가 전적으로 승객 乙의 과실로 발생하였다는 이유만으로 甲 회사 등이 면책되었다고 본 원심판단에는 법리오해 등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판결요지】

[1]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3조는 ‘자기를 위하여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는 그 운행으로 다른 사람을 사망하게 하거나 부상하게 한 경우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을 진다. 다만 승객이 고의나 자살행위로 사망하거나 부상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위 조항은 승객이 사망하거나 부상한 경우를 승객이 아닌 자와 구별하여 더욱 보호하고 있다. 이는, 승객은 자동차에 동승함으로써 자동차의 위험과 일체화되어 승객 아닌 자에 비하여 그 위험이 더 크다고 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 사고로 승객이 부상한 경우 운행자는 승객의 부상이 고의 또는 자살행위로 인한 것임을 주장·증명하지 못하는 한 운전상의 과실 유무를 가릴 것 없이 승객의 부상에 따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는 취지이다.
[2] 甲 주식회사가 운행하는 시내버스가 승객을 승하차시키기 위해 정류장에 정차하는 과정에서 승객 乙이 일어나 가방을 메다가 정차 반동으로 넘어져 부상을 입자,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치료비 일부를 부담한 다음 甲 회사 등을 상대로 구상권을 행사한 사안에서, 위 사고가 승객 乙의 고의 또는 자살행위로 인한 것임이 증명되었다고 보기 어려워 乙의 부상에 따른 손해에 대하여 甲 회사 등의 책임이 면제되었다고 볼 수 없는데도, 위 사고가 전적으로 승객 乙의 과실로 발생하였다는 이유만으로 甲 회사 등이 면책되었다고 보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청구를 모두 배척한 원심판단에는 법리오해 등 잘못이 있다고 한 사례.
 

【참조조문】

[1]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3조
[2]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 제3조
 

【참조판례】

[1] 대법원 1993. 5. 27. 선고 93다6560 판결(공1993하, 1879), 대법원 2017. 7. 18. 선고 2016다216953 판결(공2017하, 1711)
 

 

【전문】

【원고, 상고인】

국민건강보험공단 (소송대리인 변호사 임채호)

【피고, 피상고인】

화신여객 주식회사 외 1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정재호)

【원심판결】

부산지법 2021. 7. 8. 선고 2020나64019 판결

【주 문】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부산지방법원에 환송한다.
 

【이 유】

상고이유를 판단한다. 

 

1.  상고이유 제1점에 관하여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이하 ‘자동차손배법’이라고 한다) 제3조는 ‘자기를 위하여 자동차를 운행하는 자는 그 운행으로 다른 사람을 사망하게 하거나 부상하게 한 경우에는 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을 진다. 다만 승객이 고의나 자살행위로 사망하거나 부상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위 조항은 승객이 사망하거나 부상한 경우를 승객이 아닌 자와 구별하여 더욱 보호하고 있다. 이는, 승객은 자동차에 동승함으로써 자동차의 위험과 일체화되어 승객 아닌 자에 비하여 그 위험이 더 크다고 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 사고로 승객이 부상한 경우 운행자는 승객의 부상이 고의 또는 자살행위로 인한 것임을 주장·증명하지 못하는 한 운전상의 과실 유무를 가릴 것 없이 승객의 부상에 따른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는 취지이다(대법원 1993. 5. 27. 선고 93다6560 판결대법원 2017. 7. 18. 선고 2016다216953 판결 등 참조).
원심은 피고 화신여객 주식회사(이하 ‘피고 화신여객’이라고 한다)의 시내버스 운행 과정에서 승객인 피해자가 부상을 입었다고 인정하면서도 이 사건 사고는 위 시내버스를 운전한 소외인이 아니라 전적으로 승객인 피해자의 과실로 발생하였다는 이유를 들어 원고의 피고 화신여객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와 피고 전국버스운송 사업조합 연합회에 대한 책임보험금 지급청구를 모두 배척하였다.


그러나 앞서 본 법리에 의하면, 원심이 들고 있는 사정만으로는 이 사건 사고가 승객인 피해자의 고의 또는 자살행위로 인한 것임이 증명되었다고 보기에 부족하다고 할 것이므로 피해자의 부상에 따른 손해에 대하여 피고들의 책임이 면제되었다고 볼 수 없다.
그럼에도 원심은 그 판시와 같은 이유만으로 피고들이 면책되었다고 보아 원고의 청구를 모두 배척하였으니 이러한 원심의 판단에는 자동차손배법 제3조 단서 제2호에 관한 법리를 오해하여 대법원의 판례에 상반되는 판단을 함으로써 판결에 영향을 미친 잘못이 있다.
 
2.  결론
그러므로 나머지 상고이유에 대한 판단을 생략한 채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심리·판단하도록 원심법원에 환송하기로 하여, 관여 대법관의 일치된 의견으로 주문과 같이 판결한다.
 

대법관 조재연(재판장) 민유숙 이동원(주심) 천대엽

  1. No Image 12Apr
    by 사고후닷컴
    2023/04/12 by 사고후닷컴
    Views 57 

    자동차상해보험계약에 따른 보험금을 지급한 보험자가 보험자대위를 할 수 있는 경우와 그 범위

  2. No Image 28Sep
    by 사고후닷컴
    2022/09/28 by 사고후닷컴
    Views 84 

    교통사고 진료를 실시한 의료기관이 보험회사등을 상대로 직접 자동차보험진료수가의 지급을 청구한 사건

  3. No Image 16Nov
    by 사고후닷컴
    2022/11/16 by 사고후닷컴
    Views 89 

    자동차손해배상 보장법과 그 시행령에서 정한 후유장애 급수를 판정하는 방법

  4. No Image 05Sep
    by 사고후닷컴
    2022/09/05 by 사고후닷컴
    Views 108 

    사고를 당하기 전에 기왕의 장해가 있었던 경우, 노동능력상실률을 산정하는 방법

  5. No Image 11Nov
    by 사고후닷컴
    2022/11/11 by 사고후닷컴
    Views 130 

    운전상의 과실 유무와 상관없이 승객의 부상에 따른 손해배상책임을 지는지 여부

  6. No Image 05Sep
    by 사고후닷컴
    2022/09/05 by 사고후닷컴
    Views 133 

    항소심 법원은 다시 주장하지 않더라도 제1심에서 한 당사자 주장이나 그 밖의 공격·방어방법에 관하여 판단하여야 하는지 여부

  7. No Image 05Oct
    by 사고후닷컴
    2022/10/05 by 사고후닷컴
    Views 140 

    의과대학 본과 3학년 재학 중 교통사고로 사망한 甲의 일실수입 산정 기준과 방법

  8. No Image 29Jan
    by 송무팀
    2020/01/29 by 송무팀
    Views 172 

    교사가 사고 이후 장애를 입고 계속 근무하면서 장래 수입상실 손해가 없다고 본 원심판결을 파기한 사례

  9. No Image 11May
    by 송무팀
    2020/05/11 by 송무팀
    Views 172 

    의료행위를 거부함으로써 손해가 확대된 경우 배상범위를 제한하여야 하는지 여부

  10. No Image 22Apr
    by 송무팀
    2020/04/22 by 송무팀
    Views 176 

    공무원연금법상 공제하여야 하는 유족연금액의 범위

  11. No Image 15May
    by 송무팀
    2020/05/15 by 송무팀
    Views 179 

    산재 면책조항의 적용요건에 해당된다는 증명책임의 소재(=공제조합 측)

  12. No Image 30Jan
    by 송무팀
    2020/01/30 by 송무팀
    Views 180 

    생후 4년 3개월 남짓 된 유치원생에 대한 담임교사의 보호감독의무의 정도

  13. No Image 31Jan
    by 송무팀
    2020/01/31 by 송무팀
    Views 180 

    가족회사에서 직장동료로 근무하던 4촌형제 관계에 있는 운전자의 과실을 피해자측 과실로 인정하지 않은 사례

  14. No Image 18May
    by 송무팀
    2020/05/18 by 송무팀
    Views 185 

    손해액 산정 시 피해자가 수령한 휴업급여금 등의 공제범위

  15. No Image 14May
    by 송무팀
    2020/05/14 by 송무팀
    Views 192 

    국민연금공단이 대위 취득하는 수급권자의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 범위

  16. No Image 09Apr
    by 송무팀
    2020/04/09 by 송무팀
    Views 195 

    산재 보상범위를 넘어서는 손해에 대한 면책약관은 효력이 없다고 한 사례

  17. No Image 21Apr
    by 송무팀
    2020/04/21 by 송무팀
    Views 195 

    렌트카 회사의 무면허운전 면책주장을 배척한 사례

  18. No Image 08Apr
    by 송무팀
    2020/04/08 by 송무팀
    Views 197 

    상속을 포기한 경우 보험자에 대한 직접청구권이 소멸하는지 여부

  19. No Image 16Apr
    by 송무팀
    2020/04/16 by 송무팀
    Views 199 

    지입차량의 소유권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자(=지입회사)

  20. No Image 31Oct
    by 송무팀
    2019/10/31 by 송무팀
    Views 201 

    자동차보유자에게 운행지배권이 있다고 보아 운행공용자로서의 책임을 인정한 사례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6 Next
/ 26
CLOSE
카카오톡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