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보기phonesearch
배경이미지

승소사례

교통사고 보험분쟁

다양한 실무경험과 실력을 갖춘 전문가로 구성된 사고후닷컴입니다.

사고후닷컴
조회 수 51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수정 삭제

 

1. 기초 사안

이 사고는 가해차량이 교차로 지역에서 신호위반하여 좌회전을 하던 중, 반대편에서 원고가 탑승하고 있던 택시 차량의 앞 범퍼 부분 등과 충격한 사고이며 이 교통사고로 하여금 ① 경추 척수병증, ② 사지마비 등의 중상해를 입게 하여 여명 동안 개호인의 도움이 필요한 100% 노동능력을 영구히 상실하게 되었습니다.

 

noname01.jpg

 

 

2. 피고 측 주장

승객인 사고 피해자도 신호를 위반하는 택시 기사에게 안전운전을 촉구할 의무가 있었고 원고의 다친 부위에 비추어 안전벨트를 하지 않은 것으로서 총합계 80%의 과실이 있다고 주장하였습니다.

 

 

noname02.jpg

 

 

3.사고후닷컴 변론

가. 안전운전 촉구 의무에 대해서

(1) 안전운전 촉구 의무는 ⓐ호의동승한 경우에 ⓑ단순한 동승자라도 차량의 운전자가 현저하게 난폭운전을 한다거나 그 밖의 사유로 인하여 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상당한 정도로 우려된다는 것을 동승자가 인식할 수 있었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하 ‘사고 위험성의 인식 사정’이라 합니다)이 있는 경우에 인정되는데, ⓐ유상 운송의 경우는 당연히 적용이 없고, ⓑ호의동승의 경우는 계속적 위험운전 등 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상당한 정도로 우려되는 사정이 있어야 합니다(대법원 1996. 4. 9 선고 95다 43181 판결).

(2) 이 사건 사안을 보면 ⓐ원고는 택시의 승객인바, 택시 운전자는 승객을 보호할 의무가 있는 자이므로 승객인 원고에게 안전운전 촉구 의무는 인정되지 않고, ⓑ가사 그 적용이 있다고 하더라도, 택시 운전자가 황색신호에 교차로에 진입한 과실을 저질렀는 바, 순간적으로 황색신호에 진입하는 것에 대하여 안전운전 촉구할 시간 및 여유도 없다고 반박하였습니다.

나. 안전벨트에 대하여

교통사고전문변호사 변호인단은 관련 판례를 근거로 두부, 안면부 등에 상해를 입었다는 사실만으로는 안전벨트를 미착용 하였다고 단정할 수 없고(서울중앙지방법원 2014가단5122521판결, 부산지방법원 2017가단334779판결), 초기 평가 기록지에 안전벨트를 착용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면 안전벨트를 착용한 것으로 평가하여야 할 것임을 주장하였습니다(서울중앙지방법원 2017나 53905판결).

또한 병원 의무기록에 따르면, 교통사고 보호장구 중 안전벨트를 착용하였다고 되어 있는 것을 호증으로 제출하여 원고는 안전벨트를 착용하였으므로 원고의 과실은 없다고 반박하였습니다.

 

 

noname03.jpg

 

4. 판 결

 

재판부에서는 택시 승객으로서 운전자가 순간적으로 황색신호에 정지하지 않은 채 교차로에 진입한 사정만으로 안전운전을 촉구할 주의의무를 다하지 않았다고 볼 수 없고 원고가 택시 뒷좌석에 누워있는 상태였다고 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았다고 보기에는 부족하고, 달리 이를 인정할 만한 증거가 없고 부상 부위와 정도만으로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았다고 쉽게 추단하여서도 안 된다고 판시하며 피고의 과실 상계에 대한 주장을 전부 배척하여 결국 무과실로 이끌어내었고 본 사건은 역대 두 번째 교통사고 손해배상 판결금으로 기록된 성공사례입니다.

 

1 - 0001.jpg

 

1 - 0002.jpg

 

1 - 0003.jpg

 

1 - 0004.jpg

 

1 - 0005.jpg

 

1 - 0006.jpg

 

1 - 0007.jpg

 

1 - 0008.jpg

 

1 - 0009.jpg

 

1 - 0010.jpg

 

1 - 0011.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6 2019년 2월 8일 [서울중앙지방법원 1심 화해권고결정문] 1 file 사고후닷컴 2019.04.19 1003
305 족관절 운동 장해와 족저 신경 손상에 대한 파생장해를 인정한 사례 file 사고후닷컴 2019.11.15 1006
304 재해로 입게 된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하게 된 성공사례 file 사고후닷컴 2019.11.20 1011
303 2019년 08월 23일 [서울중앙지방법원 1심 판결문] 1 file 사고후닷컴 2019.10.01 1020
302 2019년 1월 10일 [서울남부지방법원 1심 판결문] 1 file 사고후닷컴 2019.04.10 1037
301 2019년 1월 15일 [서울중앙지방법원 1심 화해권고결정문] 1 file 사고후닷컴 2019.04.11 1053
300 2019년 1월 30일 [서울중앙지방법원 1심 판결문] 1 file 사고후닷컴 2019.04.18 1058
299 공사 관리책임을 70%로 인정받은 사례 file 사고후닷컴 2019.12.02 1060
298 2018년 10월 5일 [서울중앙지방법원 1심 화해권고결정문] 1 file 사고후닷컴 2019.04.02 1072
297 2018년 10월 17일 [서울중앙지방법원 1심 화해권고결정문] 1 file 사고후닷컴 2019.03.25 1079
296 자살로 본 1심 판단을 항소심에서 우연한 사고로 인정받은 승소사례 file 사고후닷컴 2019.12.07 1089
295 2019년 07월 24일 [서울중앙지방법원 1심 화해권고결정문] 1 file 사고후닷컴 2019.09.03 1092
294 얼굴 및 다발성 흉터에 대해 추상장해 인정사례 file 사고후닷컴 2020.07.15 1095
293 2019년 1월 18일 [서울중앙지방법원 2심 판결문] 1 file 사고후닷컴 2019.04.12 1100
292 사고일로부터 17년이 지난 후 추장장해를 인정받은 사례 1 file 사고후닷컴 2019.12.12 1103
291 2019년 08월 28일 [서울중앙지방법원 조정을 갈음하는 결정문] 1 file 사고후닷컴 2019.10.03 1104
290 사망원인을 우발적 외래의 사고로 인정받은 보험금청구 승소 사례 file 사고후닷컴 2019.11.30 1104
289 2018년 09월 21일 [서울중앙지방법원 1심 화해권고결정문] 1 file 사고후닷컴 2019.03.15 1106
288 2019년 5월 31일 [서울중앙지방법원 1심 화해권고결정문] 1 file 사고후닷컴 2019.07.10 1118
287 학교안전공제회에 대한 전부 승소사례 file 사고후닷컴 2019.11.25 1120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1 Next
/ 21
CLOSE
카카오톡상담